제 목 | 발달 조작적 조건화와 피아제용어 질문있습니다 | ||
---|---|---|---|
작성자 | bbonyo | 작성일 | 2018-02-12 00:06:40 |
조회수 | 1,090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교수님~
발달 질문있습니다
~!!!!
질문1.
p417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에서 보상 체계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행동을 강화하거나 감소시키는 학습 원리이다.
p418 강화는 행동의 발생 빈도를 높인다. 벌은 행동의 발생 빈도를 감소시킨다.
->보상에 강화와 벌이 둘다 포함되는 건가요?
질문2.
저는 처음 이해하기를 p419 5.바람직한 행동의 증가 기법이 강화의 유형이고 6. 문제 행동의 감소를 위한 기법이 벌의 유형인 줄 알았어요.. ㅠㅠ상반 행동 강화를 보니 문제 행동을 감소할때도 강화를 하네요
이럴수가ㅠㅠ전 지금 무슨 개념이 안잡혀있는걸까요 ?
질문3.
p450 (3) (다)에서 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현우의 유아기 사고의 특성을 서술하시오.
라고 되어있는데 (다)의 접시그림을 보면 중심화의 예로 나온 네모그림과 똑같아서 용어 개념에 혼란이 왔습니다..
(다)접시그림에서 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짚지 않는다면, (다)에서 나타나는 유아기 사고의 특성은 중심화, 비가역성, 비보존성, 직관적 사고 모두 해당되나요?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공부를 하다보면 초기에는 개념의 혼동이 계속 일어납니다. 하지만 반복 학습하면서 자신이 어떤 부분에서 혼동을 하고 있는지 서서히 파악하게 되고 개념의 조절이 일어나는 것이 공부의 당연한 과정입니다
1. 조작적 조건화 이론에서 보상체계란 말은 폭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꼭 무엇을 주는 것이 보상이라기 보다는 특정한 자극의 제공(부여?) 또는 자극의 제거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2. 강화와 벌의 구분은 "바람직한 또는 문제행동'이 포인트가 아니라 보상체계의 사용 이후에 행동이 증가했으면 강화이고 핻동발생 빈도가 감소했으면 벌입니다.
또한 상반행동강화는 칭찬의 원리를 적용한 문제행동 수정기법으로 소거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제가 보기에 샘은 강화와 벌을 바람직한 행동 증가- 문제 행동 감소 기법과 동일한 개념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차분히 다시생각해보세요
3. 문제의 답을 찾도록 한 단서는 '비가역성'에 있습니다. 이를 준거로 답안을 작송하셔야 하구요.
물론 이 단서가 없이 사고 특성을 물어봤다면 샘이 열거한 내용들도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