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과학교육 질문 있습니다 | ||
---|---|---|---|
작성자 | guswlgh6358 | 작성일 | 2018-02-13 14:36:39 |
조회수 | 1,012회 | 댓글수 | 1 |
1. 과학과정기술 부분에서, 탐색과 관찰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교과교육론 233p 기출 1번 답을 탐색이라고 기재했는데, 탐색으로 적어도 되는건가요??
2.. 과학활동 교사의 역할 중, 환경 제공자의 역할에서 물리적 환경과 교육적 환경의 구분이 잘 가지 않습니다. 240p 스티로폼 기출문제에서 교사가 제공해 준 환경은 물리적 환경이라고 적혀있는데, 교육적환경이 아니라 물리적 환경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3. 인지적 불평형과 동화의 개념을 구분해야하는건가요!
스티로폼을 손으로 가라앉히려고 하는 모습을 보고 인지적 불평형상태라고 생각했는데, 문제에서 인지발달 '기제'를 요구해서 답이 동화라면
인지발달 기제에는 인지적 불평형이 포함되지 않는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포함되지 않는다면, 책의 인지발달 기제 부분에 평형화는 포함이 되어있는데, 왜 인지적 불평형은 포함이 안되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ㅎㅎ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국어사전을 통해 구분해보겠습니다.
탐색 : 감추어진 사실이나 현상 따위를 알아내기 위하여 더듬어 찾음
관찰 : 사물의 현상이나 동태 따위를 주의하여 잘 살펴봄
제시된 지문은 (삼각형 틀로 비누방울을 만든다) " 봐, 네가 한거랑 ~" 입니다.
삼각형 틀로 만들어진 비누방울을 주의하여 살펴보는 행동이므로 관찰입니다.
2.
물리적 환경 : 탐구할 거리를 제공, 교실환경, 환경, 교재교구 등
교육적 환경 : 물리적 환경을 포함하여 교육계획, 활동 구성, 견학 계획 등
3.
인지거 불평형과 동화는 다른 개념입니다. 꼼꼼히 다시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그것은 삐아제가 하지 않은 것이라 제가 답변할 처지가 못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