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피아제 전조작기 단계 특성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kyung7464 | 작성일 | 2018-02-09 11:29:45 |
조회수 | 3,940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교수님
항상 질문 지나치지 않고 자세하게 답변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1.
중심화와 직관적사고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기준이 어려워요
중심화는 지각적으로 대상이나 사물의 한 가지 측면만 고려하여 한쪽 측면(우세한)측면에만 집중하는것이고
직관적 사고는 중심화 경향에서 벗어나기는 하지만 여전히 지각적 속성에 의해 그 대상을 판단하는 사고입니다.
여기서 두 가지 특성을 비교할 수 있는 부분은
중심화는 한가지측면에만 집중, 직관적 사고는 한 가지 측면만 고려하여 판단 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질문2.
2013년도 기출문제에서 중심화의 예시로 나온 "평소 곤충을 좋아하는 민수가 벌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벌을 발견하고 잡으려다 쏘였다"-한 가지 요소에만 주의를 집중하고 그 외 다른요소들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으로 중심화를 답을 쓰는 문제는 저 사례가 중심화 인지 이해가 됩니다.
하지만 교재에 제시된 중심화의 예 는 이해가 되지 않네요...
교재에 나와있는 중심화의 예가 아무리 보아도 직관적 사고의 예 같아요.
지각적 속성에 의해 판단을 하는것으로...........
저 예시가 왜 직관적 사고의 예가 아닌 중심화의 예가 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3.
교재450p (2013년 추가시험 문제)
문제)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현우의 유아기 사고의 특성을 서술하시오.
이 문제의 답을 보존개념이 형성되지 못하였다고 서술하라고 하셨는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접시에 놓여진 과자가 놓여진 길이 측면만 보고 누나의 과자가 더 많다고 판단한
직관적 사고라고 생각합니다...
직관적 사고는 답이 될 수 없나요???
답이 될 수 없다면 그 이유가 문제에 나와있는 '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사고의 특성' 이라고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안되는 건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중심화는 특정 상황에서 사물을 판단하는 기준이 특정한 측면에 치추쳐져 있어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단어로 정확하게는 지각의 중심화라고 하는 편이 좋겠습니다.
2. 직관적 사고는 대상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거나 사태를 판단할 때 그 대상의 내적 속성이나 기능적 특성들을 고려하지 못하고 주로 외적인 지각적 특징들에 기초하여 형성하는 사고를 지칭합니다.
예로 유아기에는 직관적 분류, 구체적 조작기: 논리적 분류를 한다고 할 때의 차이입니다
즉 직관적 사고란 지각의존적 사고 경향을 뜻하고
중심화는 유아기의 지각적 판단능력에 통합성이나 유연성이 결여되었다는 뜻 입니다
3. 사례의 그림은 직관적 사고의 예로도 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재의 내용이 중심화에 해당하는 이유는
유아는 줄의 끝 부분에만 지각이 중심화되어 있어서 자신의 끝 부분이 길어졌고 검사자의 줄이 짧기 때문에 적다고 답했다는 뜻입니다. 물론 이에 대한 설명은 좀 더 복합적일 수 잇지요. 사고의 조작 능력이 부족해서 보존개념이 없어서 등...... 하지만 피아제의 실험에서 피아제는 위와 같이 설명했다는 뜻 입니다. (발달심리 원자료 그대로 반영한 자료입니다. )
4. 문제는 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사고 특성을 쓰라고 하였으므로 비보존적 사고를 써야 합니다. 직관적 사고를 셜명할 때는 비가역성 때문이라고 설명하지는 않거든요. 출제자의 의도는 비가역적 사고 때문에 두 접시에 있는 과자의 양이 같다는 것을 모른다. 에 초점을 두어 출제한 것 입니다.
그리고 피아제 이론에서 처음 공부할 때 용어들이 많이 혼동이 옵니다. 따라서 발달 심리 책 두 권 정도를 도서관 또는 대형 서점에 가셔서 꼼꼼하게 읽으시면 정확한 이해가 생길 겁니다. 그리고 특정 이론에서 용어를 구분하는 방식은 학자가 내린 정의를 정확하게 기억하는 것 입니다. 서로 비슷한 듯 보이지만 정의가 다른 것은 초점 즉 강조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또한 현상에서는 다양한 사고가 복합적으로나타납니다. 시험 문제에서 초점은 출제자가 무엇을 묻고 있는가 이므로 이를 구분하려면 학자가 내린 정의에 의존하여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해해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