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능동적 직관과 수동적 직관에 대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sara4103 | 작성일 | 2018-02-07 14:44:08 |
조회수 | 1,315회 | 댓글수 | 1 |
1)직관을 주장한 학자 루소, 페스탈로치, 코메니우스 중에서
루소도 페스탈로치처럼 능동적 직관을 통한 감각교육을 주장했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2)코메니우스와 페스탈로치의 직관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페스탈로치가 말하는 능동적 직관은 감각통해 사물을 직관하여 자신의 머릿속에서 사물을 비교하고 판단하는 추리까지 할 수 있는데, 코메니우스는 사물을 직관하여 객관적인 사물만을 그대로 수용하였다는 것인가요?
제가 이해한 것이 맞다면, 코메니우스는 비교와 판단을 하는 추리력 하지 못했다는 뜻인가요?
3)코메니우스의 세계도회도 유아들이 직관을 통해 교육을 배우는 것인가요?
항상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루소는 능동적 직관이란 표현을 안썼을지는 몰라도 룻소 역시 직관을 통한 감각교육을 강조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먼저 피스탈로치의 시대에는 계몽 사상 이후에 발전한 과학적 연구 방법에 영향을 받아 교육과정이나 교수 방법을 체계화 하려는 노력이 많이 나타났습니다. 일반 교육학에서 널리 알려진 헤르바르트의 이론도 이 시대에 나타났지요. 페스탈로치도 마찬가지로 이전의 학자들이 주장해온 감각을 통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학교에 이를 적용하여 직관교수론이라는 이론적 체계와 실제를 제시했습니다.
아무래도 코메니우스와 페스탈로치는 시대적 차이가 있으므로 코메니우스의 이론에 비해 페스탈로치의 이론이 좀 더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구체적으로 정리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3. 코메니우스의 세계도회는 당대에 유명한 학자들의 대부분이 어린 시절 탐독할 정도로 널리 얄려진 직관교육을 대표하는 자료입니다. 이전까지 추상적인 언어로 이루어진 어학 학습 교재를 그림을 통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