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물의 가작화 | ||
---|---|---|---|
작성자 | lny1118 | 작성일 | 2018-02-07 22:38:25 |
조회수 | 3,511회 | 댓글수 | 1 |
빈상자를 가지고 달까지 가는 로켓이라고 상상한다.
사회극 놀이를 통해 종이컵을 모자로 활용
이두개의 예시가 사물의 가작화인지 추상적사고인지 표상적 사고인지 구별이 안가요...
놀이값이 없는데 물마시는 행동
말타기 놀이를 통해 어떤사물을 말로대처
이건 추상적사고인가요 사물의 가작화인가요 상징적사고인가요ㅠ?
상징적사고안에 사물의 가작화가 포함되는건가용...?
눈 앞에는 없지만 의사의 역할을 하는행동은 행동의 가작화인지 추상적사고인지도
모르겠습니다ㅜㅜ
댓글목록
saetbyeol9님의 댓글
saetbyeol9 작성일
선생님~ 선생님이 물어보신거 보고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어요!
아이미소 1권 p.436쪽에 표상적 사고와 상징적 사고가 잘 설명되있구요 추상적 사고는 p.444쪽에 잘 설명 되있어요! 짧게 말씀드리자면 감각운동기에 대상영속성과 관련된 표상적 사고가있고, 전조작기에 상징적 사고를 통해 가상놀이와 상징놀이등을 할수 있다고 설명되있고, 형식적 조작기에 형식논리와 관련된 추상적 사고가 설명되어있네요!
책의 설명으로 볼 때 전조작기 시기의 유아들이 상징적 사고를 통해 가상놀이를 할 수 있다고 저는 이해했어요 그렇다면 빈상자 로켓이나 종이컵 모자는 상징적 사고를 통한 상징 놀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또한 놀잇감없이 물마시는 행동 말타기놀이도 상징 놀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사물의 가작화는 위에 물어보신 피아제의 사고와는 다르게 스밀란스키의 사회극 놀이에 나오는 개념이라서 그 개념을 적용해보았을 때 빈상자로켓과 종이컵모자는 사물의 가작화이구요, 물마시는 행동은 행동 및 상황 가작화(없던 물건 없이 상황을 정하고 행동한 것이기 때문), 말타기놀이는 어떤 사물을 말로 대체했으니 사물의 가작화겠네요. 이제껏 대부분시험에 나올 때 스밀란스키의 '사회극놀이의 요소'를 물어봤거든요 그래서 어떤 학자를 물어보는 거냐에 따라 답을 적으시면 될 것 같아요 피아제와 스밀란스키는 각자 다른 사람이고 다른 이름으로 유아의 행동이나 놀이행동을 정의한 것이기 때문에 상징적 사고 안에 사물의 가작화가 포함된다고 딱 정의할수 없을 것 같아요. 눈 앞에 없지만 의사역할을 하는 것도 정확히 문장을 봐봐야할 것 같아요 단지 의사역할을 하면서 청진기를 대는 행동을 하면 역할가작화지만 언어로 상상의 상황을 만들어서 언어적 표현과 함께 놀이하는 것은 행동 및 상황의 가작화라고 볼 수 있을 수 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