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방어기제에서 도덕적 불안 경감에 있어 질문 드립니다! | ||
---|---|---|---|
작성자 | RedAnn0504 | 작성일 | 2018-02-03 13:43:40 |
조회수 | 1,561회 | 댓글수 | 2 |
신경증적 불안 경감은 잘 이해가 되는데 '동일시'와 '승화'로써 어떻게 도덕적 불안을 경감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예시를 든다면, 유아가 '우리 언니는 양보를 잘해!'라고 말하는 '동일시'로써 잘 양보하지 않는 자신에 대한 도덕적 처벌의 불안을 경감시키는 건가요?
또 '승화'의 경우 성욕이나 공격성과 같은 억압된 욕구를 그대로 드러낼 시 도덕적 처벌을 받게 될 것이 두려워서 예술이나 스포츠로 표현하기 때문에 도덕적 불안의 경감으로 보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승화와 동일시 모두 샘이 말한 것처럼 관련 욕구가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것 일때
승화는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방식으로 대리적으로 해소함 예) 놀이를 통한 공격행동의 발산, 예술을 통한 성욕의 발산 등
동일시: 권위를 가지거나 호감이 가는 모델에 자신을 동일시하여 대리적으로 해소함
예) 폭력적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공격욕이 충족된 듯이 느낌, 문학 작품에 나오는 이야기를 통해 자신의 불안을 대리적으로 해소함
승화는 본인이 직접하는 방식을 통해 욕구해소 및 도덕적 비난에 대한 불안 감소, 그러나 그 방법이 원래의 욕구가 충족되었어야하는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이거나 다른 대상임
동일시는 본인이 직접 하는 방식이 아니라 동일시하고 있는 모델을 통해 대리해소 대리만족을 느끼는 것임
샘이 들은 예에서
1. 만일 유아가 양보를 요구 받은 상황에서 그것을 하지 않았을 경우 이런 행동을 돌아보면서 "우리 언니는 양보를 잘해"라고 했다면 동일시 기제의 사용이 되지요.
2. 승화: 샘이 든 예시가 맞습니다. 타인에 대한 부적 감정이나 공격성이 발각될 겨우 비난받을 것을 예상해서 예술행위나 운동 등으로 표출한다고 보는 것이 프로이드 이론입니다.
RedAnn님의 댓글
RedAnn0504
이해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