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프뢰벨(자기 활동원리와 계속성 원리), 페스탈로치(인간본성)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sara4103 | 작성일 | 2018-02-02 15:39:51 |
조회수 | 1,599회 | 댓글수 | 1 |
프뢰벨 질문
1.자기 활동 원리로 인하여 노작과 놀이가 표현되는 건가요?
-자기활동원리라는 것이 프뢰벨이 말하는 정원활동 등 이외의 활동과 놀이, 노작 모두가 포함된건지 궁금 합니다~
-창조적 자기 활동 표현 중 놀이와 노작에서 그것을 어떻게 구별해야할지 궁금합니다.ㅜㅜ
2.교재 계속성원리의 설명의 예에서 은물과 게임, 작업 등이 연령별로 복잡해지도록 교육내용이 적용되는 것은
코메니우스의 객관적 자연주의와, 페스탈로치의 방법의 원리와도 연결이 되는건가요?
3.계속성 원리와 발달 순응적 교육이 같은 건가요?
페스탈로치
1.페스탈로치는 루소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이해하였는데, 인간의 본성 중 동물적 상태는 이기적이라고 해서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인간을 포함한 모든 만물은 그 내면에 신성이 내재되어 있어 자기활동성을 본질로 합니다. 자기활동성은 내면의 창조적 본능을 표출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자기활동성은 노작(노동)이나 놀이, 활동 등을 통해 외부로 표출됩니다. 놀이는 말 그대로 놀이이고 노작은 쉽게 말하면 노동을 뜻합니다
2. 프뢰벨 계속성의 원리, 코메니우스 합자연의 원리, 페스탈로치 방법의 원리는 의미상 서로 유사점이 많습니다. 용어는 다르지만 교육 방법적 측면에서는 서로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3. 계속성 원리는 말 그대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어떤 현상의 성질 또는 특성을 설명해놓은 것이고, 발달순응적 교육은 이런 계속성의 원리를 반영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의 특징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4. 페스탈로치가 언급한 이기적이라는 것은 우리가 사용하는 것처럼 선악의 판단을 담은 뜻이 아니라 욕구중심적, 욕구지향적 이라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인간의 욕구는 본래 그 자체로 선과악으로 구분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사회적 상태로 살아가야할 때 비로소 사회적 관계에서 해악을 끼치는가 아닌가에 따라 판단함으로써 선악의 구분이 생겨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번역을 할 때 욕구중심적이라는 표현을 이기적으로 표기한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