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육사조 | ||
---|---|---|---|
작성자 | idkim97 | 작성일 | 2018-01-30 17:24:03 |
조회수 | 1,349회 | 댓글수 | 1 |
어떤 선생님께서 로크의 교육사조에 대해 질문하신 것과 임미선 선생님의 댓글을 다 읽었는데요
그러면 로크의 교육사조를 쓰라고하면 지문에 따라 계몽주의가 될수도있고 사회적 실학주의가 될수도 있는건가요?
그리고 수업시간에 신인문주의는 인문주의의 고전암기를 비판하며 고전을 삶에서 실천하는 것은 중요시 하였다고 했는데
책에는 인문적 사회주의가 그렇다고 나오더라고요. 그렇다면 신인문주의와 인문적 사회주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그러면 로크의 교육사조를 쓰라고하면 지문에 따라 계몽주의가 될수도있고 사회적 실학주의가 될수도 있는건가요?
그리고 수업시간에 신인문주의는 인문주의의 고전암기를 비판하며 고전을 삶에서 실천하는 것은 중요시 하였다고 했는데
책에는 인문적 사회주의가 그렇다고 나오더라고요. 그렇다면 신인문주의와 인문적 사회주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사회적 인문주의 는 북유럽에서 발생한 도덕적이고 종교적 교양을 강조한 것으로 실제 신인문주의 사상과 많은 점에서 유사한 내용을 갖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르네상스 운동(14~16세기)은 개인적인문주의로, 종교개혁운동은 사회적인문주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인문주의는 19세기에 일어난 것으로 사회적 인문주의와 시대적 배경 자체가 다르기는 하지만 주장하는 사상적 특성에는 비숫한 점이 매우 많습니다. 하지만 시대 정신이 다르므로 신인문주의는 자연과학의 발달에 힘 입어 관찰과 실험을 통해 심리학의 원리들을 교육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즉 교육의 원리를 인간정신의 제 활동과 인간 발달에 관한 지식을 통해 구한 사조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