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상 질문 있습니다. | ||
---|---|---|---|
작성자 | shj3151 | 작성일 | 2018-01-27 13:49:47 |
조회수 | 1,211회 | 댓글수 | 4 |
댓글목록
Elena님의 댓글
choigy0729 작성일
루소는 주정주의 교육을 강조했으며, 합리주의적 주지주의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루소는 교사 중심의 방법에 맞서 교사의 자리에 어린이를 대치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을 시도하였습니다. 즉 전통교육이 되어버린 주지주의 교육에서 주정주의 교육으로서의 전환을 시도했습니다.
다만 이성도 중시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루소는 성장과정의 각 시기마다 독자적인 세계가 있다고 했습니다.유아에게 가장 먼저 형성되는 능력은 감각 능력이며, 이 감각기능에 의하여 형성되는 감각적인 이성은 다음 단계의 지적인 이성의 기초가 됩니다.소년기가 되면 지적도야기로서 이성의 눈을 뜨게 됩니다. 따라서 루소는 이성과 감성을 같이 길러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나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연재연재님의 댓글
cyj1356 작성일
저도 이부분 궁금했었어요...!
275p 에서는 계몽 사상- 하여 인간의 이성과 지성을 강조, 그리고 주지주의 교육에 기여했다고 나와있는데
285p 에서는 루소가 주지주의 교육에서 주정주의 교육으로의 전환을 시도하였다고 기술되어 있어서요.
고민해보니 루소가 주지주의를 추구하긴 하였지만,
285~286p 교육단계에서 소년기, 청년기에는 '지적 도야기', '합리적인 사고' 등의 단어가 나와있는걸로 미루어 보아
유아교육에 있서서는- 아동기에는 유아의 내면과 감정을 중시하는 주정주의 교육을 추구하고
그 외 소년기, 청년기에선 계몽주의 사상. 즉 이성과 합리적 사고를 추구한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는데..
정답이 무엇일지 궁금하네요!
Elena님의 댓글
choigy0729
제가 작성했던 글에서 덧붙여서 말씀을 드리면, 루소는 교육단계에서 각각의 단계마다 아동은 능동적인 주체이므로 아동이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즉 주정주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중 소년기는 사물에 대한 판단과 비판력이 생기는 지적교수가 가능한 시기입니다. '과학은 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아니고 아동 자신이 발견해야만 한다' 진술되어 있는 것을 보았을 때 소년기에서도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이성을 길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선생님들 질문에 답을 해드리고 싶어서 책을 찾아 보면서 계속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설명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거나 궁금한 점이 계신다면 말씀해주세요^^
연재연재님의 댓글
cyj1356
그렇군요..!
선생님의 말씀을 토대로 책을 다시 정독해보니 이해가 되어요 :-) !
제가 생각이 조금 짧았네요 ㅜㅜ 단편적인 내용을 가지고 폭넓게 공부하시는 선생님의 능력이 존경스럽습니다♡
감사해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