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계몽주의와 신인문주의 비교에 대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hanhee517 | 작성일 | 2018-01-27 20:48:54 |
조회수 | 1,503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파일의 2번에 계몽주의의 '조작적특성'과 신인문주의의 '유기적 성립'에 대한 궁금증 입니다.
또한 계몽주의의 기계적 공리관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인지 잘 인지가 안 되어서 질문 드립니다.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와는 연관성이 있나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일단, 샘이 보는 책의 내용이 제가 볼 때는 각론서가 아니라 요약된 책 같은데요. 일종의 수험서인듯 보입니다. 그런 책은 깊은 이해에 도움이 안되니 서양교육사나 유아교육 사상사 등을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1. 올리신 자료의 전체 내용을 볼 때 조작적 특성은 계몽사상이 이 세계를 더 이상 전지전능한 신의 피조물이 아니라 일련의 자연법칙에 따르는 정밀한 기계와 같다고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2. 유기적 성립이란, 이 세계를 전체와 부분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명체로 본다는 뜻 입니다
3. 기계적 공리관에서 공리관이란 효율성을 추구하는 관점입니다. 벤담 등이 말한 공리주의 철학을 뜻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어의 의미상으로는 효율성 추구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면 됩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기계론적 세계관과 유기(체)론적 세계관을 설명하는 것이니 구체적인 내용을 공부하고 싶으면 검색에서 기계론적 세계관 유기체론적 세계관을 치시면 도움이 되는 자료가 많이 있고 이해에 도움이 될 겁니다
18세기 계몽사상을 검색해도 관련 내용이 많이 나오니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추가로 조언을 드리자면 우리 시험은 교육학 시험이 아닙니다. 따라서 수업에서 해드린 내용 이상의 것을 공부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사상에서 너무 깊숙하게 공부를 하다보면 공부 진도가 안나갑니다. 수업 내용을 중심으로 복습 진도를 한번 빨리 나가시는 것이 처음에는 도움이 됩니다.
hanhee517님의 댓글
hanhee517 작성일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해주신 말씀 잘 이해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