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질문 있어요!!!! | ||
---|---|---|---|
작성자 | idkim97 | 작성일 | 2018-01-21 20:55:07 |
조회수 | 1,323회 | 댓글수 | 3 |
2.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을 할 때 유치원장이나 어린이집 원장이 아니라 교육장,교육감,시도지사가 하는 경우가 있던데 후자는 어떤 상황일 때 이루어 지나요?
3.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교육 방법에 3가지가 있다고 책과 아동복지법에 써있는데요! 그 중 하나인 시청각교육은 인터넷강의나 집합교육에서 부수적으로 시행하는건가요 아니면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건가요?
4. 한국 유아교육 체제 발전과정에 보면 1983년에 공립증가율이 사립증가율보다 높았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고등학교 때 증가율이 높다고 수가 더 많은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배웠었어요. 왜나면 1-10 4000-4003 두 경우가 있다면 전자가 더 증가율이 높은것이니까요!! 그런데 기출에 1980년대 공립의 수가 사립의 수보다 많았다고 할 때 1983~~~ 저 문장을 근거로 해설을 해주셨거든요!! 정확하게 유치원 수를 알고 싶어요 ㅠㅠ
5. 아동복지법에서 실천지향적 권리 중에 사회 보장 혜택 권리는 생존의 권리와 연관된 것인가요? 생존의 권리에 기본적 보건 서비스를 받는 것도 포함되서요!! 둘이 연관된 것인가 궁금합니다
6. 실천지향적 권리 중 장애 아동의 특별한 치료,교육 및 보호를 받을 권리는 발달의 권리와 연관된 것 인가요? 작년에 박성희 선생님께서 그렇게 설명해주신 것 같은데 기억이 잘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6. 2012년 기출에 카두신과 관련된 문제의 보기 3번인 장애아동복지사업은 보충적 서비스에 해당하는 건가요?
7. 개론 책 196페이지에 무단결석은 정당한 사유없이 7일 이상 결석한 것을 의미한다고 하는데 왜 무단결석 대응 메뉴얼은 결석 당일부터 사용되나요?
8. 동작의내용 중 공간인식이 있잖라요! 그 공간 의 하위 요소인 넓이에 작다, 크다, 둘사이의 공간이 있다고 써져있는데 둘사이의 공간이 무엇인가요?
10. 머리 위로 손을 쭉 뻗어보자, 몸을 쭉 뻗을거야 같은 발문은 공간 중 넓이와 관련된 것인가요?
11. 조작적동작 명칭 중 도달하기, 잡기 , 놓기는 추진적 동작인가요, 흡수적 동작인가요?! 아니면 나눠질 수 있는건가요?!
질문이 너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ㅠㅠㅠㅠ 공부하다보니 궁금한 점이 많아서 올려요 ㅠㅠㅠ.... 항상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샘, 죄송하지만 편의상 질문을 영역별로 나누어서 다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박교수님과 제가 나누어 답변을 드려야할 것 같아서요
유아교육론. 아동복지, 동작교육을 각기 따로 한번만 더 올려주세요. 부탁합니데이 ^^&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조선교육령은 지금으로 치면 교육기본법 같은 것이고 2차 조선교육령은 일어상용화에 따라 조선교육령은 개정하여 2차 또는 개정조선교육령을 발표했습니다. 또한 소학교령은 조선교육령 하에 제정된 것으로, 지금으로 치면 초중등 교육법 또는 유아교육법 정도인 것 같아요. (교육기본법- 유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의 체계처럼요)
또한 지금 현재도 유아교육법, 초중등교육법이 있지만 사랍학교법이 있는 것처럼 당시에도 사립학교령이 있는 거지요. 또한 이시대에는 대부분이 사립으로 유치원이 설립되었기 때문에 사립학교령에 의해 감독을 받았던 겁니다. 즉 소학교령은 존재햇지만 사립유치원에 대한 감독을 하지는 않았고 사립유치원에 대한 감독은 사립학교령에 의거햇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2. 1980년 유치원은 공립 40개소 사립 861개소로 총 901개소 였지만
1983년 공립 2,562개소 사립 1714개소로 증설되었습니다.
1980년 대비 1983년의 유치원 증가율은 공립의 증가율이 사립의 증가율을 앞선것이죠.
* 참고: 문미옥, 유아교육개론 / 이기숙, 유아교육개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