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질문있습니다! | ||
---|---|---|---|
작성자 | wjatn200 | 작성일 | 2018-01-19 18:19:02 |
조회수 | 1,239회 | 댓글수 | 2 |
안녕하세요 교수님^^ 이번에 강의를 듣게 되었는데 초수입니다. 책을 읽고 공부하다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려요! 답변 주세요^^ 감사합니다!
1. 공동 협력 체제 지향점에서 교사와 부모간 지원 체제를 강화하고 (사회 문화적 교육을 통합시킬뿐 아니라,)의 문장에서 사회 문화적 교육을 통합시킨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2. 생태 유아교육에서 총체적 생태 위기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 정치.사회 및 국제 관계상의 협조와 분배 정의의 실현 이라는 뜻이 이해가 잘 되지 않아요!
3. p.127쪽에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기회화되고 수향화된 정보를 통해 형성된다.) 이 부분이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사회문화적 교육을 통합한다는 것은 가정이나 지역 사회의 인적 자원이나 물적 자원들을 통해 함께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뜻입니다. 즉 유아가 성장하고 있는 가정 및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함께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뜻입니다. 요즘 하는 표현으로는 마을교육 공동체라는 뜻입니다
2. 오늘날 지구촌이 안고 있는 문제는 환경과 자원의 문제, 다문화, 양극화 같은 것들이 있지요.
이런 것들을 해결하려면 우선, 국제 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뜻 입니다. 예를 들어 지구온난화를 해결하기 위한 파리기후협약 같은 것이 예가 되겠네요, 또한 오늘날 자본주의의 발달로 부의 양극화가 가장 큰 사회 문제의 하나이지요. 이를 해결하려면 보편적 사회복지 제도 확장이나 기본소득 같은 제도나 노동자들의 임금 상승, 정규직 확대 같은 제도를 확장하여 사회의 빈부 격차를 줄이고 공정한 소득분배가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는 뜻 입니다. 분배정의라는 것은 사회 구성원들에게 공정한 부의 분배가 이루어져야한다는 뜻입니다.
3.,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기호화되고 수량화된 정보를 통해 형성된다 : 개략적으로 설명 드리자면,
이전까지 인간관계는 직접적인 대면을 통해 이루어져 왔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미디어를 통해 관계를 맺으므로써 실체가 아닌 그 사람을 상징하는 일련의 상징들이나 정보가 그 사람을 대체한다는 뜻 입니다.
예를 들어 샘하고 직접 만나 대화하는 것과 지금 같이 미디어를 통해 만나는 것은 상당한 차이가 있지요? 샘은 wjatn이고 저는 임미선쌤이라는 기호로 상징되고 있는 거지요. 사이버 공간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사람들은 익명성이 높아지고 그 사람의 인간성 전체가 아닌 특정한 이미지와 상징을 통해 관계를 맺게 되고 미디어에 의해 제공되는 한정적인 정보를 통해 세상과 만나게 된다는 뜻 입니다.
위의 내용이 중요하긴 하지만 시험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니 직관적 수준에서만 이해하셔도 됩니다. 짧게 설명 해드렸지만 '기호화 정보의 수량화' 같은 내용은 사회학에서 깊이 있게 다루는 용어들이라 우리 전공 공부 처럼 정확하게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보다는정보화라는 흐름이 유아교육과 어떻게 연관된는지에 초점을 두어 공부하시면 됩니다. 즉 < 정보화로 인해 직접대면을 통한 인간 간의 관계 형성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고립주의나 인간 소외 현상이 심해지고 있으므로 공동체성의 강화와 인성 교육 등을 더욱 강화하고 직접 만남을 통한 사람들 간의 유대감 형성을 교육에서 강조할 필요가 있다 > 정도가 될 것 입니다.
처음에 공부할 때는 참 여러운 단어도 많고 진도가 잘 안나가요.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아는 단어는 늘어날 거고 이해하는 내용은 늘어날 겁니다. 그러다보면 공부도 재미있어집니다. 힘들어도 잘 버티시고 모르는 단어들은 검색을 이용해서 많이 찾아보세요. 그러다보면 시사 상식도 늘어나서 면접까지 연결되는 공부가 될 겁니다.
화이팅!!!
wjatn200님의 댓글
wjatn200 작성일감사합니다! 교수님^^ 열심히 공부하고 합격해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