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과교육론- 유아동작교육 질문 | ||
---|---|---|---|
작성자 | ssk02031 | 작성일 | 2018-01-15 00:26:41 |
조회수 | 1,419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유아동작교육 내용 중에 질문이 생겨 글을 남깁니다!
1) 교과교육론 교재 p.25에 있는 기출문제 (1)번 답이 공간인데 혹시 관계도 답이 될 수 있나요? ㄱ을 보면 공 던지기를 하고 있는데 이는 공이라는 도구를 이용해 동작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요!
2) 유아동작교육 접근법 중에서 신체적 접근법(Gallahue의 개념적 접근법, Gilliom의 문제해결식 접근법)의 공통점은 유아 주도적인 교육을 한다는 것이라고 했는데요, 신체적 접근법의 교육 내용은 동작요소나 기본적 동작인데 이를 어떻게 유아 주도적인 방법의 교육으로 진행할 수 있나요? 유아 동작교육 교수. 학습 방법 중 유아 주도적 방법인 탐색법은 답이 정해져 있지 않고 유아가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것인데, 신체적 접근법의 교육 내용인 동작요소나 기본적 동작은 가르치려는 동작이 정해져 있는 것이므로 유아주도적 교수. 학습 방법보다는 교사 주도적인 방법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라는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유아 주도적 방법인 탐색법은 신체적 접근법보다는 극적 접근법에서 사용해야하지 않나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기본적 동작이나 동작 요소 중심의 접근의 경우
일정한 동작을 교사가 정확하게 가르칠수도 있지만 유아들이 관련 동작을 스스로 충분히 탐색하면서 자신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발견하도록 지도할 수 있습니다.
갤러위의 접근법에서 수업 단계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 꼭 교사중심의 지시적 접근을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갤러위의 접근을 하면서도 유아중심의 교수 전략을 사용할 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