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가소성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hdl0205 | 작성일 | 2018-01-15 14:04:34 |
조회수 | 2,508회 | 댓글수 | 2 |
1. 가소성에 대한 정확한 정의 및 예시를 알고 싶습니다. 혼란이 되어 정리가 안되네요 ㅠ
2. 유아교육을 조기 교육 또는재능 교육으로 보는 과점 중
헌트와 블룸의 내용은 이해가 되는데
브루너가 말한 그의 저서 " 교육의 과정" 을 통해 "어느 연령의 아이에게도 모든 과목을 책임질 수 있는 방법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주장이 유아의 조기교육 또는 재능교육 입장으로 본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알고 싶습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가소성이란 용어는 원래 뇌발달과 관련해서 발달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뇌발달에 있어 시냅스간 연력에 의한 뇌회로의 형성이 유아기까지 진행되고 있으므로 영아기 동안 부족한 환경적 자극을 유아기 동안 제공하여 뇌발달을 돕는다는 뜻 입니다. 이를 반영하여 발달원리에서 사용되는 가소성이란 용어는 환경적 자극에 적응하여 이루어지는 변화 가능성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변화 가능성'이라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이미소 2권 신체발달 중 두뇌발달 편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유아기의 발달은 이러한 가소성이 높은 시기로 영아기 동안 결핍된 적절한 환경적 자극을 제공하여 발달을 도울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정확한 정의는 교재 발달 원리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2. 브루너는 어떤 내용이든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맞는 방식으로 번역하여 가르치면 잘 배울 수 있다는 주장을 합니다. 이는 브루너의 표상이론으로 제시되었지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학습자의 발달단계(정보처리 방식)에 맞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조기교육론자들이 이를 앞 단계에 배울 내용을 미리 당겨서 가르치는 것으로 교묘하게 이용하여 학부모들에게 조기교육을 권장하는 내용을 둔갑시켰습니다. 특히 브루너가 말한 내용은 탐구 중심의 학습을 말한 것으로 학습자의 정보처리 방식에 적합한 방식으로 지식을 탐구하도록 해야한다는 의미였는데 상업적 조기교육 업체들이 지식 탐구가 아닌 주입식 반복학습을 사용하는 조기선행학습의 이론적 배경으로 사용한 것이지요 . 브루너의 이론은 과학교육에서 좀 더 상세하게 공부할 수 있습니다. 혹시 학교에서 공부한 과학교육 각론서가 있다면 일독을 권장합니다.
hdl0205님의 댓글
hdl0205
교수님 이해가 잘 되도록 쉽게 풀어 설명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많아져서 인강을 들어도 직강을 듯는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