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 문학교육 질문입니당 | ||
---|---|---|---|
작성자 | ai10004 | 작성일 | 2017-10-17 16:33:07 |
조회수 | 1,434회 | 댓글수 | 4 |
Rosenblatt의 읽기유형과 질문유형은 다른 것이고 정보추출과 정보회상은 다르므로
정보추출식 읽기/정보회상적 질문 을 구분하여 암기하라고 하셨는데요..
영어로는 efferent reading/efferent question으로 같은 말인거 아닌가해서 질문드려요..
댓글목록
myid726님의 댓글
myid726 작성일
로젠블랏은 질문의 유형이므로
정보 회상적 질문 / 심미적 질문,
매니&와이즈만은 접근법 중심으로 된 이론이므로,
분석적 접근법 / 경험적 접근법
이렇게 정리해서 얼른외웠어용! ㅎㅎ 그렇게 암기하시면 편해용^^
ai10004님의 댓글
ai10004
저두 매니와이즈만하구 로젠블랏은 구분해서 외웠어요ㅎㅎ
제가 궁금했던 부분은 로젠블랏의 질문유형이 정보회상이나 정보추출이나 같은거로 알고있었는데
'임쌤질문있어요'에선 로젠블랏을 질문유형이랑 읽기유형으로 나누시면서 정보추출식 읽기와 정보회상적 질문으로 외우라고 하셨거든요..
그래서 찾아봤더니 로젠블랏의 읽기유형이나 질문유형 모두 영어로는 efferent로 같은 단어로 쓰였길래 질문한거였어요^^!
피그벌님의 댓글
skyblue3759 작성일
저는 그냥 정보 추출식 읽기는 그림책을 ‘읽을때’ 무엇을 중점으로 읽을것인가 정보를 추출하며 읽을것인지 아니면 심미적으로 독자의 경험이나 독자가 느끼는 반응에 중점을 두어 읽을것인지에 따라 정보 추출식 읽기와 심미적 읽기로 구분했고
정보회상적 질문은 그림책을 ‘읽고나서’ 어떤 유형의 질문을 할것인지 로 구분했어요!
정보회상적 질문, 정보추출식 읽기 둘다 정보를 위주로 읽는건 맞는데 그냥 뉘앙스차이??인거같아요!
답변이 되셨기를!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문제를 푸는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할 태도(?)는
되도록이면 각론서와 동일한 용어를 기입하는 것입니다. ^^
그 자료들이 근거가 되기 때문이에요.
또한 깊이 설명하자면 복잡하지만
정보 회상적 질문은 교사가 그림책에 관련된 특별한 정보를 기억하게 하는 것이고
정보 추출적 읽기는 독자가 책의 주요 정보 중심으로 읽는 것과 함께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선택해서 읽는 것까지 포함되므로 두 용어는 그 의미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