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문해교육의 관점 질문 | ||
---|---|---|---|
작성자 | khyenam81 | 작성일 | 2017-10-27 00:53:03 |
조회수 | 1,443회 | 댓글수 | 2 |
의사소통 강의를 들었을때 관점이 무엇이냐 라는 문제가 나오면
1. 읽기 준비도 관점(성숙주의 관점)
2. 단계적 학습 관점(행동주의 관점)
3. 발생적 문식성 관점(상호작용주의적 관점 또는 구성주의 관점) 이라고 답을 쓰면 된다는 교수님 말씀이 기억납니다.
그런데 총정리반 강의때는
읽기 준비도 관점 이 행동주의 관점이라고 다시 설명을 들었는데
혹시 위의 1번 성숙주의 관점은 준비도 관점이라고 생각하고
2번의 행동주의 관점은 읽기 준비도 관점이라고 생각하면 되는것이 맞을까요?
댓글목록
irood님의 댓글
iroo_d 작성일맞아요 저도 책에 준비도관점 성숙주의라고 필기해놨는데 총정리에선 행동주의라고 하셔서 이 점 궁금해요!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질문자가 이야기하신 것 처럼
준비도의 관점은 성숙주의가 맞으며 읽기 준비도 역시 성숙주의에 해당합니다.
원래 읽기 준비도는 기다렸다가 유아의 발달 순서에 적합하게 가르쳐야한다는 것이지 그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 않습니다.
각론서들을 살펴본 결과
1. 읽기 쓰기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쉬운 것부터 순차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읽기 준비도와 단계적 학습이 혼합되어 설명되어 있습니다.
2. 발생적 문식성과 읽기 준비도를 상대적인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총정리 때 내용을 수정하였는데 깊이있는 설명을 못 했네요. 미안합니다.
문제에 따라 아래와 같이 관점을 달리하면 좋겠습니다.
1. 읽기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려야한다까지의 메세지만 전하고 있으면 성숙주의
2. 읽기 준비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쉬운 것 부터 단계적으로 가르쳐야한다는 내용까지 포함되어 있으면 행동주의
또한 되도록 "문해교육에 대한 관점을 쓰시오" 라는 질문에는 발달에 대한 관점(행동, 성숙, 구성)을 쓰지 말고 오류를 줄이기 위해 읽기 준비도와 발생적 문식성으로 기입하시기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좋은 결과 있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