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도와주세요! ㅠ Mead의 이중자아 | ||
---|---|---|---|
작성자 | kkab0225 | 작성일 | 2017-10-29 12:45:21 |
조회수 | 1,843회 | 댓글수 | 1 |
Q1.사회적 자아
놀이 단계에서 '의미있는 타자의 역할 취해보기'를 통해서 다른사람의 관점을 이해하면서
'나'를 구분하게 될 때 형성되는 자아=주체적 자아=사회적 자아이고,
Q2. 일반화된 자아
게임 단계 일반화된 타자를 통해 내면화하여, 사회적 가치가 내면화된 자아=목적격자아 아닌가요?
통합된 자아는 이러한 단계를 거치면서 인간의 2개의 이중적 자아가 주체적 자아와 목적격 자아가 상호작용하면서 결론적으로 생기는 '나'구요......
저는 그렇게 이해했는데... 아닌가요..
사회적자아=주체적 자아
일반화된 자아=목적격 자아가 맞나요?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찾아서 읽고, 이렇게 이해했는데
ㅠ.ㅠ 카페에서 다른분들 이야기 들어보니까 헷갈리네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완전히 잘못 이해하신 거예요. 미드의 자아발달이론
1. 자아는 주제적 자아와 목적격 자아라는 이중적 구조로 발달해 나간다.
2. 이러한 이중적 자아의 발달은 준비-놀이- 게임 단계를 거친다.
샘이 제시한 내용을 살펴보면
사회적 자아/ 일반화된 자아: 잘못 이해하셨습니다. 미드 이론은 미드의 용어로 암기하셔야 합니다
굳이 따진다면 사회적자아=일반화된 타자가 내면화된 상태입니다
주체적 자아는 사회적 자아가 아닙니다.
여기서 주체적 자아란 우리들 각자가 지니고 태어난 개성적이고 본성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이런 주체적 자아도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하고 이를 통해 환경에 적응하게 됩니다.
일반화된 타자가 내면화되는 과정을 통해 사회적 자아인 목적격 자아가 형성되어가는 겁니다
결론:
미드는 놀이를 통해 주체적 자아와 목적격자아가 성장하여 통합된 자아 구조를 형성해 간다고 설명하는 것 입니다. 즉 성숙된 자아는 건강한 주체적 자아와 사회적 가치를 내면화한 목적격 자아의 통합된 인성 구조를 갖는 것이라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