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생존에 대한 초기관심사단계와 교수상황 관심사 | ||
---|---|---|---|
작성자 | pokgan1 | 작성일 | 2017-09-14 21:12:23 |
조회수 | 1,145회 | 댓글수 | 3 |
생존에 대한 초기 관심사- 학급통제, 교수내용에 대한 숙달, 장학사의 평가에 대한 관심
교수 상황에 대한 관심사- 많은 학생, 수업과다 , 과중한업무, 교수자료의 부족 등 교사 자신의 교수행위 등에 대한 관심을 가짐.
교수님께서 생존에 대한 초기 관심사는 '수업기술'에 대한 관심이고/ 교수상황 관심사는 '수업의 질'에 대한 관심이라 하셨는데 2014기출에서" 아이들과 하고 싶은 활동이 많은데 어떻게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지, 효과적으로 발문할 수 있을지, 새로운 교수법 등 관심이 많다"한 것에 대한 답이 교수상황에 대한 관심사라 하셨는데
발문법, 교수법등은 수업의 질보다는 수업기술 측면에 더 가깝지 않은가요?ㅠㅠ
학급통제도 어찌보면 수업의질 같고... 헷갈려요 ㅠ
댓글목록
ysy908님의 댓글
ysy908 작성일저 같은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 효과적인 발문 방법'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업의 질'과 관련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수업 기술에 관심을 둘 경우 단순히 과다한 업무를 수행하는 부분에 관심을 두는 사례가 나오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합니다. 부족한 답변이지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끝까지 화이팅!!^^♡
지으니님의 댓글
wldms425
과다한 업무 수행에 관한건 교수상황관심사 아닌가요 ?? 그럼 수업의질과 관련된거아닐까요 ....??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효율적인 수업기술을
수업기술이라는 말로 사용하기 때문에 혼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초기 관심사에서의 수업기술은 수업을 하기 위한 최소한의 형식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동극을 어떻게 해야할지 일과를 어떻게 운영해야할지, 무엇을 가르쳐야할지와 같은 부분입니다.
학급통제도 마찬가지 입니다. 처음 교사가 되었을 때 아이들을 어떻게 앉혀야할지, 화장실은 어떤 순서로 보내야할지 줄은 어떻게 세워야할지와 같은 아주 기초적인 기술에 관한 부분입니다.
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