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어제 교육과정론 수업문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starstar1234 | 작성일 | 2017-08-17 16:01:22 |
조회수 | 1,279회 | 댓글수 | 3 |
박성희 교수님~ 안녕하세요 ^^
8의 4번이요~
ㄷ이 유아들이 나비에 관심을 더 많이 보여 내가 계획했던 들꽃 관찰하기 활동을 잠시 중단하고 활동 내용을 나비로 변경하여 나비의 생김새와 움직임을 유아들이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였다.
답에 콜버그의 낭만주의 인데요.. 왜 그런지 잘 모르겠어요 ㅜㅜ 낭만주의이면 성숙주의관점이랑 연결되는건데..
아동중심인 진보주의도 되는거 아닌가요? 융통성을 가지는거는 구성주의도 가능한것 같아서요.. ㄷ의 지문 만으로는 .. 낭만주의와 진보주의의 차이를 모르겠어요..ㅠㅠ
댓글목록
훈훈한언니님의 댓글
wkdal828 작성일
우와 선생님 딱 이문제 질문하고 싶어서 들어왔는데 ^^ 저와같은 생각이시네용ㅎㅎ 저도 이부분 궁금합니다.
그리고 지문에서 [계획했던 '들꽃관찰하기']활동이 있는데 융통성의 원리에 따라 유아들이 흥미를 보이는 나비로 활동을 변경한것은 구성주의 관점에도 해당이 된다고 생각해요 ㅠㅠ
lucy1999님의 댓글
lucy1999 작성일
먼저 교육과정 접근법과 유형을 분류한 내용을 보면 이렇고,
낭만주의(콜버그& 메이어)- 성숙주의(심리학이론)-아동중심교육과정(와이키트)
진보주의(콜버그 & 메이어)-구성주의(심리학이론)-개방체제 교육과정 (와이키트)
선생님 질문에 아동중심인 진보주의 라는 문장에서, 아동중심이라는 것이 성숙주의 낭만주의와 계열을 같이하는 맥락으로 쓰신건지. 그렇다면 낭만주의가 정답이라는 것이 의심이 되지 않을 듯 하고요 ^^
저는 사례에서 아이들이 갑자기 나비에 대해 관심이 많아져서 교사가 나비와 생김새와 움직임을 자유롭게 탐색하게 했다는 문장에서 자유롭게 탐색했다는 문장에 큰 의미를 두고 성숙주의 즉 낭만주의라고 이해했어요. 구성주의는 나비와 관련된 것을 탐색하기 위한 교사와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성숙주의보다 많이 개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요. 그 이유는 낭만주의는 유아들이 활동의 주도권이 있어서 자유롭게 환경을 탐색하도록 하고, 진보주의는 구성주의와 같이 활동의 주도권이 교사와 유아 모두에게 있어요. 그래서, 저는 본문에서는 교사가 어떠한 것으로도 주도권을 갖고 있는 상호작용이나 단서가 없이, 유아들이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허용하는 분위기에서 성숙주의, 낭만주의라고 생각했어요.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어요~^^
아이미소 교재이 교육과정론 파트에 설명이 잘 나와있으니 다시 한번 확인바래요~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구성주의 관점이 되려면 유아들이 흥미를 잃지 않도록 교사의 지원이 있어야 합니다.
또는 유아의 흥미와 교사의 계획을 통합할 수 있는 상호작용이 있어야겠죠.
교사는 유아들이 나비에 흥미를 가지자 자신의 계획을 포기하고 유아의 흥미를 지지했을 뿐이므로 구성주의라고 볼 수 없습니다.
구성주의는 교사와 유아 모두 학습의 주체자로서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능동적이고 통합적인 수업 운영이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