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박성희 교수님께 질문있습니다~ (다문화교육, 전래동화) | ||
---|---|---|---|
작성자 | kmj94126 | 작성일 | 2017-07-16 21:46:38 |
조회수 | 1,442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 ![]() |
2.
1)전래동화에서 전승문학에 전설, 민담, 신화가 있는데 우화도 포함되는건가요???
2)민담의 종류에서 동물의 이야기라고 '의인화된 동물'로도 표현한다고 적혀있는데 우화랑 헷갈려요!
그리고 한눈쏙 민담 비교한 설명에는 민담의 주인공은 일상적 사람이라고 표현되어 있는데 어떻게 연결해서 이해해야 할까요?
댓글목록
ysy908님의 댓글
ysy908 작성일
1번은 저도 잘 모르겠어요 ㅠㅠ
2번의 괄호 1번은 우화도 포함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번
먼저 질문의 내용 중
[샐러드 볼(= 각 문화의 고유성을 인정해주지만 그냥 같이 공존하는 정도이므고 사회적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지는 않음)]이 본 교재나 강의 내용에서 발췌된 내용인가요? 샐러드볼 이론에서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표현입니다.
[샐러드 볼을 문화 다원주의라고 하고! 다문화주의는 다른 개념으로 사회문화적 다양성까지 생각하는 것라고] 이 내용 역시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생각하는 것은 문화다원주의나 다문화주의 모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올려놓은 자료에도 위의 질문에 해당하는 설명은 찾기 어렵네요.
문화다원주의와 다문화주의는 현재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다문화주의가 더 큰 개념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는 정책이나 실행방법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문제도 용어를 쓰라기 보다는 다문화교육을 다문화주의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을 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 교재의 내용대로 이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번
1) 우화도 포함됩니다.
2-1) 문학적인 구분으로서는 복잡하지만 일단 우화는 이솝우화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것이 우화냐 민담이냐를 묻는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와 같은 동화(전래동화)의 특징을 쓰라거나 ~와 같은 동화 지도시 유의점을 묻겠죠. 학습의 포인트를 특징과 지도방법에 두세요.
우화의 정의를 적어드리겠습니다.
우화의 정의 : 물활론이 바탕이 되어 동물이나 무생물에게 인간 성격을 부여하여 교훈성을 중심으로 인간성을 풍자하거나 교화시키고자 하는 이야기, 인간 특징을 상징화하는 생물, 무생물 등이 등장하며 도덕적인 교훈을 명확히 서술한다. 민담이 권선징익의 이상적인 세계관이 주를 이루는데 반해 우화에서는 힘 있고 지혜로운 자가 승리하는 현실주의적인 세계관이 내재된 이야기가 많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이솝우화라고 알고 있는 형태가 있다.
2-2) 한눈의 쏙의 내용은 각론서의 내용을 발췌한 것인데요. 전설이나 신화, 민담에 나오는 인물(사람)의 특성을 제한해서 비교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와 유사항 형태의 표가 시험에 나온 적이 있으니 이 표 형태 그대로 외워두세요.
여러 각론서의 내용들을 토대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민담에 나오는 인물(사람)의 특징은 허구적, 일상적이고 운명 개척적이다. 하지만 민담은 사람 뿐 아니라 동물 등 어떤 존재든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열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