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평가 적중문제, 9-2번 문제 | ||
---|---|---|---|
작성자 | nan0330 | 작성일 | 2017-07-06 15:42:45 |
조회수 | 1,086회 | 댓글수 | 1 |
평가 적중문제 9-2번의 답안을 보면, 관찰의 오류를 피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이미소 5권 129페이지의 척도 적용상의 오류 해결방안에 해당하는 내용들이 있더라구요~
평정척도도 관찰법에 해당하긴 하지만 척도문항에 기록을 할때 유의해냐하는 점들이 답안으로 제시된 것같아서요 ㅜㅜ
9-1번에 제시된 관찰법에서 관찰자가 범하는 오류로 후광효과, 과대한 일반회, 관찰자의 기대, 주관적 해석 등이 있었는데 이러한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는 관찰훈련을 실시하는 것과 함께 체계적 계획을 세우고 관찰을 시작하기,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즉시 기록하기, 평가지침을 근거로 해석하기와 같은 유의사항들을 지키는 것이 더 적절한 것 아닌가요?
관찰 영역별로 모든 유아에 대한 결과를 다 기록하고 다른 영역으로 넘어가거나 판단이 불가능한 사항은 남겨놓고 차후에 추가 관찰하기는 척도상 에 표기할 때만 해당되는 방법이 아닌가 해서 든 의문입니다 ㅜㅜ
답변 부탁드립니다~!
평정척도도 관찰법에 해당하긴 하지만 척도문항에 기록을 할때 유의해냐하는 점들이 답안으로 제시된 것같아서요 ㅜㅜ
9-1번에 제시된 관찰법에서 관찰자가 범하는 오류로 후광효과, 과대한 일반회, 관찰자의 기대, 주관적 해석 등이 있었는데 이러한 오류를 피하기 위해서는 관찰훈련을 실시하는 것과 함께 체계적 계획을 세우고 관찰을 시작하기, 관찰한 것을 바탕으로 즉시 기록하기, 평가지침을 근거로 해석하기와 같은 유의사항들을 지키는 것이 더 적절한 것 아닌가요?
관찰 영역별로 모든 유아에 대한 결과를 다 기록하고 다른 영역으로 넘어가거나 판단이 불가능한 사항은 남겨놓고 차후에 추가 관찰하기는 척도상 에 표기할 때만 해당되는 방법이 아닌가 해서 든 의문입니다 ㅜㅜ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샘이 말씀 하신 내용 중 관찰 후 즉시 기록하기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답안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적중문제 9번은 교육부 장학자료를 근거로 해서 출제되어 답안이 제시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선 제시된 문제의 가장 확실한 답은
1. 관찰 훈련을 통해 관찰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입니다
2. 샘이 제시한 것처럼, 관찰 결과의 해석시 교육과정의 목표나 내용을 준거로 해석하기 등 입니다.
단, 관찰 계획 세우기는 보다 체계적인 관찰을 위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되구요. 즉시 기록은 기억의 왜곡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입니다.
참고로 관찰의 주관성( 주관적 기록)을 배제하고 객관성을 보장하는 방법으로는
1. 관찰 대상이 실제로 행동한 것만 기록한다
2. 참여 대상의 말을 사실 그대로 직접화법으로 기록한다
3. 관찰 대상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단, 위의 내용들은 주로 서술적인 방식의 자료 수집에 주로 해당하는 내용들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