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발달심리 적중문제-9번 (프로이드 방어 기제) | ||
---|---|---|---|
작성자 | yj7643 | 작성일 | 2017-06-20 22:12:24 |
조회수 | 1,348회 | 댓글수 | 2 |
안녕하세요 ^^ 문제 풀이 강의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
발달심리 적중 문제1- 9번에서 프로이드의 심리기제에 대한 용어 중 (5)번의 정답이
'간접 공격'이라고 하셨는데 저는 이를 '승화'라고 생각했거든요~
승화란 억압된 동기나 정서를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공격성을 놀이나 다른 표현 활동으로 대체하는 것이잖아요~ 그래서 문제에 제시된 예문에서도
(예문 : 미워하는 친구에 관하여 벽에다 낙서하는 것)
미워하는 친구에 관하여 직접 공격을 할 수 없으니,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낙서라는 형태를 통해서 욕구를 충족한다고 생각했는데 제가 어떤 오개념을 갖고 있는 걸까요?
승화랑 간접 공격이랑 저는 잘 구분이 되지 않아요 T.T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댓글목록
lucy1999님의 댓글
lucy1999 작성일
저는 간접공격이라는 말을 떠올리지 못해서 승화와 비슷하다 여겨 승화라고 답을 써서 틀렸어요. ㅎㅎ
승화(sublimation)는 본래의 충동을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인정받는 방향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항문기에 자신의 대변을 가지고 놀고 싶어하던 유아의 충동은 성장하면서 진흙이나 점토를 가지고 노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고, 성인이 된 뒤에는 이러한 충동을 예술로 표현하여 사회적으로 성공한 조각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차적인 과정을 통해 대리적인 활동은 본래의 충동보다 더 큰 의미를 갖게 되며, 이는 이드의 욕구와 환경의 요구를 중간에서 효율적으로 조화시켜 충족시키려는 자아의 정상적인 기능으로 볼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정신분석 치료 [psychodynamic psychotherapy] (심리학용어사전, 2014. 4., 한국심리학회)
승화는 반사회적 충동을 사회가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성적 충동은 누드를 그린다거나 관능적인 춤을 추는 것 등을 통해서 사회가 인정하는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이것이 승화이다. 공격적 충동은 권투나 야구, 축구와 같은 공격적인 스포츠를 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 防禦機制] (두산백과)
책보다 좀 더 자세히 나온 자료들을 찾아서 읽어보았어요.
승화에 대한 자료를 좀 더 많이 읽고 나니까 이해가 되는 것 같아요.
벽에 친구에 대한 낙서를 하는 것은 간접 공격에 해당하는 조소 비난 욕설 등이 포함 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낙서가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바람직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 분명 벽에 하는 낙서가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바람직한 행동은 아니라는 점...
승화를 잘 읽어보시면 이해가 되실 것 같아요. 저와 같은 생각을 하셨던 쌤이 계시네요~^^
열공하세요!!
yj7643님의 댓글
yj7643
우와 선생님..! 자세한 답변 감사드려요~ 헷갈리던 부분이었는데 생각해보니까 벽에 낙서하는 행위가 정말 사회적으로 수용되고 바람직한 행동은 아니었네요! 제 오개념이 무엇인지 발견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두 열공하세요 >,< ♥ 화이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