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셜즈비 읽기 행동발달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pbsj85 | 작성일 | 2017-06-09 02:42:13 |
조회수 | 1,669회 | 댓글수 | 1 |
탈맥락화된 읽기와 탈맥락화 되지 않은 읽기가 어떤 것인지 명확하게 인지가 되지 않습니다.
탈맥락화란 맥락에서 벗어난다는 뜻인데
자신이 아는 부분은 책 그대로 읽었다가 모르는 부분은 자기 생각대로 읽었다는 의미인가요?
아니면 그림없이도 읽을 수 있다는 의미인가요?
셜즈비 3단계 문자언어식 읽기 시도에서
①글자를 보지 않고 읽기, 이야기를 혼합하여 읽는 형태 : 이야기 내용이 탈맥락화 되지 않는 상태의 읽기
는 그림없이는 읽을 수 없음을 의미하고
② 글자에 초점을 맞추면서 원본 이야기와 비슷하게 읽기 : 탈맥락화된 언어를 사용하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이뜻은 그림없이 읽을 수 있다는 의미인가요?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1. 탈맥락화의 개념
탈맥락화의 개념 때문에 혼돈이 오시죠?
이야기 읽기에서의 탈맥락화란...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완전히 이야기 속으로 사고를 집중한다는 의미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아니라 읽기체를 사용하여 책을 읽는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탈맥락화되지 않은 읽기란 이야기를 읽으면서 주변의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책의 그림을 보면서 문어체로 읽었다가 구어체(이야기체로도) 로도 읽었다가 자기 이야기도 섞었다가하면서 읽는 행동이지요.
탈맥락화된 읽기란 책 속의 이야기만을 문어체로 읽는다는 것입니다. 글로 잘 표현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아래의 예 정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탈랙락화되지 않은 읽기
: 토끼는 잠이 들었어습니다. 거북이가 왔어요. 영차 영차. 어떻게 해. 그런데 토끼는 그것도 모르고 계속 잠을 잤습니다.
탈맥락화된 읽기
: 토끼는 잠이 들었습니다. 그때 거북이가 왔습니다. 토끼는 계속 잠을 잤습니다.
2. 글자에 초점을 맞추면서 원본 이야기와 비숫하게 읽기는 그림 없이 읽을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림만 보고 이야기를 짓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토대로 자신이 기억한 이야기를 글자의 형태와 맞추어 가며 읽는 흉내를 내는 정도의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읽기 발달 단계를 완벽히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만
수업 시간에 말씀드린 것처럼 자꾸 연습하면서 본인 만의 기준을 잡아가시기 바랍니다.
지치지 말고 끝까지 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