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관찰학습의 유형 중에서 | ||
---|---|---|---|
작성자 | audwns7183 | 작성일 | 2017-05-09 00:58:03 |
조회수 | 1,320회 | 댓글수 | 1 |
직접모방(배합의존 전형)과 무시행 학습의 차이점은 단순히 보상이 있고, 없고의 차이 점인 가요???
그리고, 관찰학습의 효과중에서 비억제효과하고, 유도효과가 헷갈립니다.
'과거에 매우 공격적이었던 아동의 경우 공격적인 모델과의 상호작용에서 공격적 행동이 크게 강화될 것이다.'
이미 한 학습한 행동의 촉진으로 보이는데 ..
유도효과랑 비슷한 것처럼 느껴지네요 ㅠㅠ
댓글목록
ysy908님의 댓글
ysy908 작성일
안녕하세요, 저도 임용시험 준비 중인 수강생 입니다. 미흡한 답변이지만 우리 모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래욤^^
책을 보았을 때 직접모방은 모방 할 대상을 그대로 따라한 뒤 보상을 받아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 무시행 학습은 (1) 행동을 해 볼 기회가 없거나 (2) 모방에 대한 보상이 없음에도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써져있더라고요. 따라서 제 생각에 무시행 학습은 이름 그대로 행동을 해 볼 기회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행동이 학습하거나, 직접 모방과 달리 보상이 없어도 학습을 하는 경우로 이해하면 될 것 같았어요^^
두번째로 질문하신 내용은 교재에서 (2) 유도효과: 이미 학습한 행동의 촉진(모델-강화 조건)이라고 나오고, 다음으로
(3) 억제/비억제 효과: 특수 행위의 억제(모델-처벌 조건)하고 아랫 줄에 첫 번째 설명으로 '이는 유도 효과의 특수한 경우이다.'라는 말이 있잖아요. 그래서 저는 이 말을 보고, 유도효과의 특수한 경우가 바로 억제/비억제 효과이기 때문에, 선생님께서 헷갈리셨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저도 예시를 보니깐 유사한 것처럼 느껴지거라고요.ㅠㅠ
그런데 다시보니... 유도효과읕 '모델-강화 조건'이고 억제/비억제 효과는 '모델-처벌 조건'이었어요.
강화와 처벌이라는 차이점이 있더라구요! 이게 최선이었네욤 ㅜㅜ 앞으로도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