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박교수님~잘롱고 관련 기출문제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wlstn816 | 작성일 | 2017-05-12 21:56:28 |
조회수 | 1,390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교수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는 인강생입니다.
의사소통 교재 p253의 문제의 답안을 보면
수미:이야기와 글자에 대한 지식을 연결하는 단계 라고 나와있고
강의에서도 수미가 정확하게 읽으려 하기 때문에 7수준이라고 말씀하셨는데
p215의 표를 보면 6수준에 정확한 단어로 읽으려고 노력한다 라고 나와있어서 혼란스러워요ㅠㅠ
7수준으로 답을 써야 하는 이유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설명부탁드립니다^^
항상 배우는 것이 많은 강의에요 ㅎㅎ 감사드립니다 !
의사소통 교재 p253의 문제의 답안을 보면
수미:이야기와 글자에 대한 지식을 연결하는 단계 라고 나와있고
강의에서도 수미가 정확하게 읽으려 하기 때문에 7수준이라고 말씀하셨는데
p215의 표를 보면 6수준에 정확한 단어로 읽으려고 노력한다 라고 나와있어서 혼란스러워요ㅠㅠ
7수준으로 답을 써야 하는 이유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설명부탁드립니다^^
항상 배우는 것이 많은 강의에요 ㅎㅎ 감사드립니다 !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이 문제가 참 많은 고민을 하게 했는데요.
6수준은 형식적 읽기의 초기 단계로 유창하게 읽는다라고 정의할 수가 없습니다.
문제에서 정확하게 읽기 위해 노력하고 모르는 단어를 묻고 모르는 단어를 대치하는 등의 행동이 보여야 6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수준은 유창한 읽기가 가능하고 더불어 이야기와 자신의 경험을 연결시키는 단계입니다.
대부분의 글자를 성인의 도움 없이 읽을 수 있고 모르는 글자라도 자모음의 규칙을 활용해서 비교적 정확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더불어 읽는 과정에서 이야기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덧붙이기도 합니다.
헌데, 문제에서는 두 단계의 정확한 구분이 될 수 있는 포인트가 분명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아요.
문제에서 단서를 잡을 수 있는 것은
1) 유창성에 관한 부분 (7수준에 해당)
2) 5수준과의 연계성입니다.(그림에 기초해서 글을 읽던 아이가 정확하게 글을 읽는 단계까지의 과정이 6수준이라고 볼 때)
이상과 같은 기준에에서 본 강좌에서는 많은 협의 끝에 7수준으로 제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