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관찰법-질적정보 | ||
---|---|---|---|
작성자 | ttore0216 | 작성일 | 2017-05-08 16:11:45 |
조회수 | 1,113회 | 댓글수 | 1 |
평정 척도에서 행동의 정도를 척도로 나눌 수 있어서 행동의 질적인 특성을 알 수 있다는 말이 결국 질적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저는 일화기록,서술식 사건표집법,표본기록법만이 사건의 전후관계를 알 수 있어서 질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행동 목록과 평정 척도,체크리스트, 사건표집등은 행동의 유무와 수준 정도만 알 수 있어 질적 정보는 얻을 수 없다고 이해했었는 데 잘 못 이해한 건가요..?ㅜㅜ
댓글목록
배움박선생님의 댓글
생각늘보 작성일
질적인 특성을 알 수 있다는 말은 질적인 정보를 수집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행동의 유무를 확인하는 체크리스트나 행동목록법이 행동의 양적인 특성을 알 수 있는 것과 비교하여
평정척도는 질적인 특성을 알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어, 유아의 사회성을 평가하는 문항은 평가 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체크리스트 : 친구를 만나면 먼저 인사한다. (예. 아니오)
평정척도 : 친구를 만나면 먼저 인사한다. (자주 그렇다. 그런편이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전혀 그렇지 않다.)
체크리스트보다는 평정척도가 보다 행동의 질을 평가한다고 할 수 있겠지요?
따라서, 평정척도는 질적인 정보를 수집하는 평가방법은 아니지만 행동의 질을 알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