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개론 발달 문제 53번 질문입니다. | ||
---|---|---|---|
작성자 | 0615lisa | 작성일 | 2017-04-30 13:11:09 |
조회수 | 1,079회 | 댓글수 | 2 |
첨부파일 | ![]() |
제 생각엔 답이 4인것 같은데요 왜 5인가요? ㅠㅠ
가역적 사고를 구체적 조각기에도 할 수 있는데 왜 4는 답이 아닌가요?
문제53. 제시된 내용 중 구체적 조작기의 사고로 옳은 것?
4. 구체적 조작기에는 동일성 상보성 역조작의 원리를 통합하여 융통성있는 가역적 사고가 이루어진다.
5. 사물을 지각할 때 여러 면으로 관점을 넓히게되고 사물의 속성을 다룰 때 그들 사이의 관계성을 고려할 수 있게된다.
가역적 사고를 구체적 조각기에도 할 수 있는데 왜 4는 답이 아닌가요?
문제53. 제시된 내용 중 구체적 조작기의 사고로 옳은 것?
4. 구체적 조작기에는 동일성 상보성 역조작의 원리를 통합하여 융통성있는 가역적 사고가 이루어진다.
5. 사물을 지각할 때 여러 면으로 관점을 넓히게되고 사물의 속성을 다룰 때 그들 사이의 관계성을 고려할 수 있게된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구체적 조작기에는 보존 개념의 형성으로 조작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지만 여러 조작 원리를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여러 조작원리를 동시에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형식적 조작기로, 형식적 조작기가 되면 조합적 방식의 문제 해결이 가능해지므로 여러 조작 원리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됩니다. 즉 위의 답안에서 4번에 있는 내용 중 " ..조작의 원리를 통합하여"에서 통합 부분은 구체적 조작기가 아니라 형식적 조작기에 대한 설명입니다
예진님의 댓글
0615lisa 작성일아 이해가 되네요..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