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문해발달이론 행동주의적 관점 | ||
---|---|---|---|
작성자 | duseodsid | 작성일 | 2017-04-19 14:49:59 |
조회수 | 945회 | 댓글수 | 1 |
교재 p.43 (2)경험적 읽기준비도중시/ 형식적인 조기 문자 언어 교육 강조
② 4번째 줄 : '학습 효과는 학습 목표로 제시된 기능의 습득 여부를 측정한다.'
④첫번째 줄" '(생락)읽기의 기능적인 사용보다는 형식적인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형식적인 방법에 초점을 맞추는데 왜 습득 여부 측정할 때는 '기능'의 습득 여부를 측정하는 건가요?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학습 목표로 제시된 기능의 습득 여부란 말은
'학습 목표에 제시된 낮은 수준의 읽기 기능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행동적 목표를 진술할 때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을 각기 사용하고 여기서 말하는 기능은 영어로 skill에 해당합니다
-읽기의 기능적인 사용에서 '기능'의 의미는 의사소통 기능, 즉 영어로 function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두 문장에서 사용된 '기능'의 의미는 다른 뜻 입니다.
-행동주의 문자교육은 낮은 수준의 형식적인 읽기 기능(기술)을 가르치는 것이고
- 상호작용주의 문자 교육은 유아가 일상에서 의사소통 수단으로 문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문자 언어가 실생활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이해하도록 합니다
************
요즘 조금씩 공부에 재미가 생기는 사람도 있고 서서히 지쳐가며 공부에 흥미를 잃는 분도 있지요
하지만 게시판을 채우는 여러분의 질문을 보며 공부에 열의를 더해가는 분위기가 느껴지네요
올 한 해 여러분의 자존심을 걸고 파이팅 하시기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