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비고츠키 사회적 중재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duseodsid | 작성일 | 2017-04-21 22:00:51 |
조회수 | 2,532회 | 댓글수 | 1 |
비고츠키의
사회적 중재=문제를 해결할때 적절한 도움을 주는 것, 따라서 비계설정이 그 방법중 하나..
이렇게 알고있는데
제가 알고있는 개념이 옳은 개념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인지발달이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중재된 기호들이 개인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이다
라고 교재에 나와있는데요..
중재된 기호...?들이라함을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
언어를 매개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 문화등을 전달받으며 고등정신기능이 발달된다.
고등정신기능발달=인지발달 (이렇게 봐도 무방할까요?)
이때 전달받았다고 인지발달이 이루어지는게 아니라 그 전달받은 지식을 내면화해야 인지발달이 이루어지는 거다. 왜냐하면 지식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 구성해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같은 지식을 들어도 구성해서 내면화되는 지식은 모두 다르다..?(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예를들어
선생님이 사과를보여주며 "이게 사과야"라고 말을하면.
이 말이 사회적 중재가 되고 아이가 "아 그래! 이게 사과구나!!!" 하고 깨달으면 내면화 된것 인가요?
외부 지식이 아이에게 전달되는 과정에 이렇게 언어적으로 (또는 여러 비계설정 방법등을통해) 아이에게 전달되는 그 과정이 사회적 중재인가요?
아 제 머릿속이 복잡하니 질문도 복잡하네요 ㅠㅠ
사회적 중재에 대해 명확히 설명부탁드려요 ㅠㅠ
*추가질문 : 제가 비고츠키를 이해하기 위해 번역된 책을 읽고있는데..
여기선 '매개(mediation)' 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mediation이 중재라는 뜻도 있더라구요 ^^
위의 '중재'가 이 책에서 '매개'로 정리되어있다고 보아도 무방할까요?
덧붙여
항상 답변해주시는 임미선 교수님 조교님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 비고츠키 이론에서 사회적 중재란, 유아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여러 유형의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뜻 합니다. 샘이 읽고 있는 책에서 매개라는 용어가 아마도 중재인 듯 합니다
- 중재된 기호
사회적 상호작용은 언어와 같은 기호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뜻 입니다
예를 들어 엄마가 아이에게 무엇인가를 설명해준다고 할 때 엄마가 사용하는 말은 의미 전달을 위한 중재된 기호의 역할을 하고 아이는 이 말을 전달 받아 자신이 기존에 형성한 의미구조로 통합하여 내면화함으로써 지식의 구성이 이루어진다는 뜻 입니다
위에 샘이 설명한 내용이 다소 단순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적절하게 이해하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