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의사소통 4월 12일 수업 질문입니다. ^^ | ||
---|---|---|---|
작성자 | starstar1234 | 작성일 | 2017-04-14 16:31:00 |
조회수 | 1,028회 | 댓글수 | 2 |
인강생인데요~ 13일 수업때 교수님 목소리.. ㅠㅠ 맘이 아팠어요.ㅠ얼른 컨디션 회복 하셨으면 좋겠어요~
다름이 아니라 복습중에요. ^^
레너버그 내용중에 . p32 제한점 밑에 보면 행동주의와 생득주의 이론의 공통점이 있는데요
행동주의가 왜" 태어날때부터 그 무엇에 의해 이루어지거나"에 해당되는지 모르겠어요. ㅠ
행동주의는 환경에 의해서 모든게 결정되어 지는거 아닌가요??
궁금합니다. ㅠㅠ
댓글목록
동해바다님의 댓글
oceancyh 작성일
태어날 때 부터 예정되어진 그 무엇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생득주의을 의미하고
환경적인 자극의 결과에 의한 것은 행동주의를 의미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이 두 가지 모두는 능동적이 아닌 수동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 아닐까요?
결국, 생득주의와 행동주의는 아동의 언어 발달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진다.
nan0330님의 댓글
nan0330 작성일
수업 중에 행동주의 이론의 제한점을 설명하시면서
행동주의의 기본전제는 '아동은 학습에 있어 환경과 지능의 영향을 받는다'라고 하셨어요~
(요부분은 제한점 3번 참고하셔요!^^)
그렇기 때문에 태어날 때 부터 예정되어진 그 무엇(행동주의-지능, 생득주의-언어습득기제)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환경적인 자극의 결과(행동주의-행동주의적 접근, 생득주의-민감기와 측면화현상으로 환경 중요성 설명)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두 이론의 공통점이라고 이해하였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