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신체운동건강-비이동동작 (I미소2 p.195)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yj7643 | 작성일 | 2017-03-24 00:07:23 |
조회수 | 1,035회 | 댓글수 | 2 |
안녕하세요 ^ ^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아이미소 2권의 p. 195쪽에 보면 '낮은 평균대 위에 서 있기'가 역동적 균형으로 표에 분류되어 있어요~ 그런데 역동적 균형은 움직이면서 평형을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고 알고 있어서 이 동작이 왜 역동적 균형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아요 ㅠ.ㅠ 오히려 그냥 서 있는 것은 움직임이 없이 균형을 유지하는 거니까
'정적 균형'에 가깝다고 생각했거든요~ 제가 어떤 오개념으로 인해 이렇게 혼란스러운지 궁금합니다 ㅠ.ㅠ
댓글목록
myid726님의 댓글
myid726 작성일
선생님 저는 가만히 땅 위에서 균형을 잡고 있는 건 '정적 균형' 이지만,
그 표의 문맥을 보면 다 직선을 따라 걷거나,
평균대 위에 서서 걷는 것들을 역동적 균형 이라고 볼 수 있잖아요~
그래서 가만히 땅 위에서 균형을 잡고 서 있는 건 정적 균형이지만
낮은 평균대 위에서 서 있는 것은
' 서 있기'에 초점을 맞춘 것 보다는 평균대 위에~! 서 있는 거 잖아요~
가만히 서있는게 아니라 결국 평균대를 어느 정도 균형을 잘 잡으면서
평균대 위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거니까
그래서 역동적 균형이라고 생각해 보셔야 할 것 같아용^^
글자 그대로를 해석하기 보다는 아이들의 무엇을 기르기 위한 활동인지를
생각해 보시면 이해하기 쉬우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당 ㅎㅎㅎㅎ
yj7643님의 댓글
yj7643
저도 그렇게 한 번 이해해볼께용 ! 감사합니다 선생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