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평가 확인학습 답의 타당성에 대한 질문♥ | ||
---|---|---|---|
작성자 | kimhyejin0409 | 작성일 | 2017-03-23 16:17:11 |
조회수 | 1,031회 | 댓글수 | 1 |
확인학습 '유아교육과정론 및 평가-3'의 3페이지 7번문제입니다.
7번문제의 ⑤번 항목을 보면, 검사법에 대한 장점이 '검사자에 따른 차이가 최소화되어 (⑤)가 높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⑤에 들어갈 말이 정답에는 '신뢰도'라고 나와있는데, 저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정답이 '객관도(객관성)'인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ㅠㅠ
신뢰도는, '피검자에게 동형검사를 반복했을때 피검자 개인의 검사점수가 얼마나 일관되느냐의 정도'를 뜻하고
객관도는, '피검자에 대한 검사자들의 검사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의 정도'를 뜻합니다.
이에 비추어 문제를 살펴보면, '검사자에 따른 차이가 최소화'된다는 것은 검사자들에 따라 각각 검사를 했을때 검사결과의 차이가 최소화된다는 뜻이니까, '검사결과의 일치정도가 높아진다=객관도가 높다'고 해석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ㅠㅠ
이에 대해 임쌤의 의견 듣고 싶습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 신뢰도: 어떻게,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는가와 관련된 것. 즉 하나의 평가도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측정하더라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 정도를 의미함. 신뢰도는 측정하려는 것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일관성 있게 측정하였느냐의 문제임.
- 객관도: 신뢰도의 한 유형으로 검사자 간의 합치 정도를 의미함. 객관도는 채점 결과가 채점자들 간에 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느 정도 일치하느냐의 정도를 의미함
따라서 이 내용에 따르면 샘이 제시한 객관도가 문맥에 맞는 개념입니다..
하지만, 확인학습 문제에 제시된 내용은 교육부자료인 유치원 관찰 척도에서 발췌한 것으로,
관찰법이 검사자에 따른 주관성의 오류로 인해 검사 결과의 신뢰도가 낮다는 점과 비교하여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즉 신뢰도는 검사도구의 반복 사용에 따른 검사 결과에 초점을 둔다면 객관도는 검사자간의 합치도에 초점을 두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 두개념을 검사법으로만 한정지어서 A 검사도구와 B 검사도구를 비교하는데 적용하면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념인데 반해. 관찰법과 검사법으로 비교할 때는 두 개념간의 차이가 모호해지는 점이 있네요. 즉 관찰법은 관찰의 도구 자체가 관찰자의 시선이기 때문이지요.
결론적으로 교육부 자료에 제시된 내용은 관찰법에 비해 검사법은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