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관찰법/검사법의 신뢰도에 대한 질문♥ | ||
---|---|---|---|
작성자 | kimhyejin0409 | 작성일 | 2017-03-23 16:59:45 |
조회수 | 938회 | 댓글수 | 1 |
아이미소 5권 116p 검사법의 장점에서
자료수집과정에서의 '객관성, 신뢰도가 높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검사법의 문제점 (4)에서는 또 '검사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고 나와 있어서요.
그렇다면 검사법의 신뢰도는 높은 건가요, 낮은 건가요?
제가 생각해봤을 때는, 관찰법의 단점에서도 신뢰도가 낮다고 나와있는 것으로 보아, 검사법도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상대적으로 관찰법보다는 높다. 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결론지으면 되는 부분일까요??
그리고 또 임쌤께서 '시간표집법'의 신뢰도와 객관성이 가장 높다고 말씀해주셨으며 교재에도 그렇게 나와있는데, 이것 또한 시간표집법이 '관찰법' 중에서는 신뢰도와 객관성이 가장 높긴 하지만, 그래도 절대적으로 봤을때는 관찰법 자체가 신뢰도와 객관성이 낮은 방법이다. 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그리고 이게 맞다면, 문제를 풀때 좀 혼동이 올 것 같아 고민입니다.
만약 문제에서 '시간표집법은 신뢰도가 낮다'라고 나와 있으면, 관찰법 자체가 신뢰도가 낮기 때문에 맞은 문장이라고 해석해야 하는지, 관찰법 중에서는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틀린 문장이라고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만약 문제에서 '시간표집법은 관찰법 중에서 신뢰도가 낮다'라고 나와있으면 확실히 틀린 문장이지만, '시간표집법은 신뢰도가 낮다'라고만 나와있으면, '관찰법 중에서'라는 조건이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시간표집법은 관찰법에 포함되어 신뢰도가 낮은게 맞으니까요.
이러한 부분에 대해 어떻게 해석하는게 좋을지 임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댓글목록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1. 검사법의 경우 검사 도구 자체의 객관도와 신뢰도는 높지만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을 경우 그 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그 이유는 유아들은 언어적 능력이나 자기 표현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검사 실시 방법에 따라서 점수가 달리 나올 수 있고, 검사도구를 유아가 접해본 경험에 따라 연습효과에 의해 다른 점수가 나올 수 있다는 뜻 입니다.
즉 검사법의 신뢰도가 높다 낮다라는 일반화된 결론이 아니라 유아를 대상으로 검사법을 사용했을 때의 문제점을 지적한 내용입니다
2. 두번째 질문은 아마도 시험 문제가 제시되었을 때의 고민인 듯 합니다. 하지만 샘이 제시한 문제의 내용에는 맥락에 주어지지 않을까요? 또한 기본적으로 시간표집법은 관찰 전에 관찰 행동을 명료하게 정의하고 출현 빈도만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관찰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관찰에서 신뢰도가 낮다는 것은 주로 서술적인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경우이고 양적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관찰이라는 방법은 신뢰도의 문제가 있긴 하지만 서술식이 아닌 양적 데이타를 수집하는 방법들은 관찰 행동에 대한 명료한 조작적 정의를 미리 내리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