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2016 기출) 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유아기사고의 특성 | ||
---|---|---|---|
작성자 | oceancyh | 작성일 | 2017-02-11 13:40:14 |
조회수 | 1,632회 | 댓글수 | 2 |
개론 p.185
8.(3) 모범답안
현우는 사고의 비가역성으로 인해 과자를 줄지어 놓은 것과 띄엄띄엄 놓은 것을 본래의 상황으로 되돌리면 같다는 보존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것은 가역성이 보존개념의 성립요건이기 때문인가요?
만약,
- 비가역성으로 인해 지각적 속성에 의해 판단하는 직관적사고를 한다.
- 비가역성으로 인해 지각적으로 우세한 측면에만 집중하는 중심화에 해당된다.(개론 p172 중심화 예시 그림
이 같습니다.)
는 안될까요? 아닌 것 같지만, 명확하게 문제의 요지 파악이 안되네요.
직관적사고와 중심화에 대한 개념은 구분이 되는데 예시에서 판단하기가 어려워요.
직관적사고는 보존개념 및 유목포함 조작에서의 결함으로 나타난다.라고 교재에 되어 있는데
직관적사고에 보존개념과 유목포함이 속하는 건가요?
사고의 특성이 얽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댓글목록
합격이지요님의 댓글
hy2096 작성일
저도 직관적 사고, 가역성, 중심화, 자기중심성 너무너무 헷갈려요.. ㅠ
그래도 제가 이해한대로 적어 볼게요.
직관적 사고나 비가역성이 전조작기 유아기 사고의 특징이라
직관적 사고에 보존개념과 유목포함이 속하는 것은 어려울 것 같아요.
각론서를 보면 가역성의 발달에 따라 보존개념이 발달한다고 나왔더라고요.
그리고 전조작기 사고의 특징으로 '직관적 사고의 보존개념' 이런식으로 나온 각론서도 있더라고요.
또한 문제의 답에서 보면, '본래 상황으로 되돌리면' 이라는 말 자체가 가역성을 의미하는 거여서요.
유아가 결과적으로 시각적 차이에 따라 다르다고 한 부분만 놓고 보면 직관적 사고이지만,
문제에서 과자를 줄지어 놓은 상황에서 띄엄띄엄 놓은 상황으로 변환된거에 초점을 둔 것이기 때문에
가역성으로 해석하는 부분이 맞을 것 같아요 ^^
동해바다님의 댓글
oceancyh
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