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저 진단 평가 문제요..ㅠㅠ | ||
---|---|---|---|
작성자 | orzrorzroo | 작성일 | 2017-02-01 00:02:20 |
조회수 | 1,081회 | 댓글수 | 6 |
모르는 문제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ㅠㅠ
발달심리 부분이데.. 몇문제가 있는데.. 여기다가 여쭤봐도 되는건지.. ㅠ
진단평가: 발달심리 문제 입니다.
4. 지문에 제시된 교육 사상이라고 했으니깐 사상가를 물어보는게 아니지요? 그럼 아동중심사상인데..
선택지에서 ④번 발달은 개별 유아마다 다른 속도와 유형으로 이루어진다. 이것도 맞는거 아닌가요?(성숙주의관점이기는 하지만 구성주의도 포함되는내용인거 같아서요..) 정답⑤도 맞는 말이기는 하지만.. 교수님께서 수업중에 말씀하신것 처럼 더 정답에 가까운것을 답으로 하는 문제 인가요?
13. 보기에 ㉡게임에서 자기편이 이길 수 있었는데 선생님의 심판 떄문에 졌다고 변명하고 있다. 이것은 합리화도 되지 않나요? 투사와 합리화를 어떻게 구분하면 좋을지..ㅠ
23.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를 사용할 때 적절한 방법? 선택지에서 ⑤ 벌을 주고 나서는 보상을 주어서는 안된다도 정답인거 아닌가요? 이거는 왜 안되는지.. ㅠㅠ책에도 벌을 주고 보상을 주면 안된다고 되어 있는데.. ㅠ 정답이④연령이 어릴수록 인정이나 격려와 강은 방법보다는 즉각적인 물리적 보상이 효과적이다. 이게 왜 정답인지 모르겠어요.. ㅠ 수업중에 교수님께서 어린 연령은 자기 중심적 사고를 해서 비난이나 그런것보다 격려나 칭찬을 하라도 하신거 같은데..ㅠㅠ
32. 설명이 부적절한것을 찾는 문제인데요..
조작- 추상적이고 지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기능이다. 이게 틀린 문장인데.. 맞는 문장 아닌가요?
바르게 고칠려면 어떻게 고치면 되는건가요?
또.. 책에서 p155 포화와 홍수법, 과잉정정, 유관운동이 다 비슷한거 아닌가요? 명확히 차이점을 어떻게 두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ㅜ
아..복습하면서 진단평가 풀어보다가 멘붕이 왔어요..ㅠㅠ 교수님.. 조교님...ㅠ
너무 많이 여쭤봐서 죄송합니다..
댓글목록
wldus엔젤님의 댓글
5425rlawldus 작성일
저도 진단평가 어려웠어서 공감이 가요ㅎㅎ
4. 더 정답에 가까운 답을 찾는 문제인 것 같아요~ 만약에 4번 지문이 맞는거면 보기에 개인차에 대한 내용이 나와야 되는데 없으니까 답이 아니구요.
13. 투사는 자기 탓을 남 탓으로 돌리는 거고, 합리화는 어차피~해서 안해(안돼) 이러면서 일찌감치 포기해버리는 것 이라고 저는 이해했어요. 그리고 보기에서는 자기 팀이 못해서 진 걸 갖다가 심판 탓을 했으니까 투사가 맞구요.
23. 문제에서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라고 했는데, 벌 자체는 부적절한 행동을 감소시킬 뿐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지는 못하니까 아니구요. 4번은 '아~ 어린아이들은 10번 잘했다~ 해주는 것보다 1번 사탕주면 더 좋아하지?'라고 이해했어요ㅋㅋ
32. 조작은 인지기능이 아니라 인지구조에요!
* 포화는 행동적인 걸 고쳐주고(편식 안하게 해줌), 홍수법은 정서적인 걸 고쳐준다는 점(쥐를 안무서워 하게 해줌)에서 차이가 있구요. 과잉정정은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연습시키는 거구 유관운동은 문제행동과 비슷한 행동을 반복해서 시키는 거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어요. 또 유관운동은 어떤 행동을 반복시키는 것인 반면 포화는 어떤 행동 보다는 음식, 종소리와 같은 강화자극을 과하게 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네요~ 열공하세요!^^
orzrorzroo님의 댓글
orzrorzroo
아 조교님 감사합니다. 제가 먼가 하나씩 놓쳤네요 ^^ 꼼꼼히 봐야겠어요 ㅋㅋㅋ
오늘도 뿌듯한 하루 되세요 ^^
wldus엔젤님의 댓글
5425rlawldus 작성일샘 저 조교는 아니고 임샘 강의 듣는 학생이에요~ㅎㅎ
orzrorzroo님의 댓글
orzrorzroo
아 ㅋㅋㅋ
합격이지요님의 댓글
hy2096 작성일
23번에 5번에 벌을 주고 나서는 보상을 주어서는 안 된다가 답이 되지 않는 이유는 두 가지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먼저는 벌을 주고나서 보상을 주어야 하는 예외적인 사례가 있기 때문에 답이 아닌거 같아요.;
타임아웃의 경우는 보상을 바로 주어야 하잖아요. 교수님이 수업중에 그 이야기를 해 주셔서 그것 때문이 아닌가 생각했어요.
또한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를 사용한다는 것과 벌과는 다르잖아요.
벌의 사용 자체가 강화와는 관련이 없어서 답이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나머진 위에 선생님과 비슷한 생각이고요. 저도 조교는 아니지만 짧게나마 끄적여 봅니다.
orzrorzroo님의 댓글
orzrorzroo
아 넵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