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진단평가(두꺼운 프린트) 질문이요 | ||
---|---|---|---|
작성자 | 5425rlawldus | 작성일 | 2017-02-01 12:08:36 |
조회수 | 1,280회 | 댓글수 | 7 |
- 중심화가 답이라는데 직관적 사고 아닌가요?ㅠ 다른 문제에서 보면 아이가 찰흙을 납작하게 만든다음 "내 찰흙이 더 많다"라고 말한
게 직관적 사고라고 되어있더라구요.. 넘 헷갈려요ㅜㅜ
53. 구체적 조작기에는 동일성, 상보성, 역조작의 원리를 통합하여 융통성 있는 가역적 사고가 이루어진다
- 맞는 말인 것 같은데 왜 틀렸는지 모르겠어요..
132. 피아제 도덕성 발달) 8-11세 도덕적 상대론의 시기이며 내재적 정의와 동기나 의도에 의한 도덕적 사고가 가능하다
- 이것도 틀린 이유를 모르겠어요ㅠ
댓글목록
김소미미님의 댓글
rlathal104 작성일
48번은 지각적으로 우세한 한가지 측면만 고려하는 특성이 중심화니까 직관적 사고로 인한 중심화.. 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보기에 직관적 사고가 없으니까 답은 중심화가 맞구요ㅎㅎ
53번은 저도.. 의문인데 동일성 상보성 역조작의 원리를 통합하면 보존개념이 나타나는거지 가역적 사고가 나타나는게 아니라서 틀린 답이 되는 건가 싶어요
132번은 내재적 정의는 도덕의 절대성(타율적 도덕성) 시기에 나타나는 특성이기 때문에 틀린 답인 것 같아요!
wldus엔젤님의 댓글
5425rlawldus 작성일샘 감사해요~ 이해가 쏙쏙 잘됐어요^^
합격이지요님의 댓글
hy2096 작성일
53번 문제 저도 궁금해서 책을 찾아보니깐, 구체적 조작기에 동일성, 상보성과 같은 보존개념의 형성이 시작되는 시기인 것을 의미하는 것 같아요. 각론서에서도 찾아봤는데, 동일성, 상보성이 융통성 있게 이루어지면서
가역적 사고가 이루어지는 것은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하더라고요.
구체적 조작기는 구체적 대상을 이용한 동일성, 상보성 개념이 발달하면서 형식적-조합적 사고를 하는 시기라고 되어있더라고요 ^^
mj1838님의 댓글
mj1838 작성일
저도 53번 내용을 각론서에서 찾아봤는데요!
hy2096 선생님의 내용을 조금 보충해보자면,
구체적 조작기에는 동일성, 상보성, 역 조작의 개념에 대한 이해능력을 획득하는 시기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구체적 조작기는 말 그대로 구체적인 사물의 내용과 연관되고, 구체적 사물의 특성을 넘어서는 일반화 능력을 획득하지는 못한다고 합니다!
형식적 조작기는 여러 문제 해결에 필요한 변인들을 골라서 체계적으로 조합, 구성하는 능력을 가지는데요
이때 위의 보기에서 말하는 동일성, 상보성, 역조작의 원리를 통합하여 융통성있는 사고가 이루어지는 것 이라고 보시면 될것 같아요~
orzrorzroo님의 댓글
orzrorzroo
선생님 지나가다가 여쭈어요~ 역조작이 가역적 사고를 의미하는거 맞나요?
mj1838님의 댓글
mj1838
그렇다고 보셔도 무방할것같아요!
일반적으로 보존개념을 획득하는 원리를 설명할때 동일성의 원리, 상보성의 원리, 역조작의 원리를 획득해야 한다고 하잖아요
이때 역조작의 원리는 이 컵에 담긴 물을 이전의 컵에다 그대로 다시 부을 수 있기 때문에 두 컵의 양이 같다는 원리를 말하는 것이죠!
가역적 사고도 마찬가지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능력이니까요 ㅎㅎ
다시말해서, 역조작의 원리를 이해한다는 것이 가역적 사고를 할 수 있다는 의미인것같아요~
임미선쌤님의 댓글
임미선쌤 작성일
구체적조작기에는 동일성, 보상성, 반환성 등의 조작 능력을 사용할 수 는 있지만 이런 능력들이 이제 막 발달하면서 세가지의 지적 조작을 통합한다거나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형식적 조작기가 되면 이런 지적 조작 능력들이 능숙해지고 원리 지향적인 추상적 사고에 능통하게 되어 상황에 따라 보다 적합한 지적 조작들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열공을 응원합니다 ^^&
댓글 열심으로 달아주고 계신 샘들 모두 너무 멋지네요!!!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