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질문드려요
작성자 임미선쌤 작성일 2017-02-02 02:15:55
조회수 1,427회 댓글수 0

> > > 안녕하세요. > 공부하다 의문이 가는 것들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 > 1. > > 용어정리 chapter 02.발달심리(문제지) 1-10번. 인생의 초기경험은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순차적인 발달 과정에 누적되어 유예된 영향력을 지닐 수 있다. > 라는 문장에서 '누적되어'라는 말을 빼면 개론 126p 하단의 기초성에 해당하는 설명이 되는데요, 저는 '누적되어'라는 말이 있거나 없거나 이 문장이 기초성과 누적성을 모두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 이유는 발달의 원리 간의 상호연관성 때문이라고 나름 생각해봤는데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답변: 네 그런 의미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하지만 기초성은 기초적인 능력을 반드시 초기 발달에 이루도록 해야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면, 누적성은 발달의 결손을 초기 단계에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 > 2. > 확인학습: chapter 02. 발달심리 -2(문제지) >

 7-1번 문제 > 이 행동수정기법을 정적강화라고 봐도 될까요?

 

​답변: 지금보니 문장의 앞 부분에 설명이 빠져 있군요, 주어진 문장 그대로라면 '정적강화'가 맞습니다.

 

원래의 문장은 " ​문제 행동을 하는 영진이가 유치원의 공동 물건을 친구들과 사이좋게 나누어 쓰면 칭찬해준다. "가  되어야 합니다.

 

> 7-3번 문제 > 격리가 행동의 감소를 위해 일정 시간동안 '긍정적 보상'을 박탈하는 것인데 여기서의 긍정적 보상은 장난감같은 물건에는 해당하지 않고 집단에 유아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것만 의미하나요? > >

 

​답변: 격리는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일정시간 동안 박탈하는 기법이고,

        장난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장난감 사용의 권리를 제한하는 것이므로 '박탈'로 구분해야겠네요. 

 

 

 3 > 유관행동의 예시로 '만일 한 유아가 교실 문을 일부러 쾅쾅 세게 닫을 때마다 개인 서랍장 문을 지칠 때까지 열고 닫게 하는 것'을 생각해봤는데 옳게 이해한 건가요? > > 감사합니다.^^ > >

 

​답변: 교실 문을 닫는 행동과 서랍장 문을 닫는 행동이 동작의 우사성으로 인해 유관행동이라고 판단한다면 가능하다고 봅니다. 

* 질문을 올리실 때 가능하면 의문이 드는 부분의 지문이나 사례를 직접 올려주시면 좀 더 신속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테니 고려 해주세용 ^^&

올 한해 샘의 목표를 향해 씩씩하게 걸어가는 그래서 내년에는 샘이 원하는 그 곳에 서게 되기를 기원합니다 ^^&   

  •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도란도란 목록

Total 5,615건 264 페이지
도란도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672 답변글 질문 있어요^^ 임미선쌤 17-02-02 1541
1671 확인학습 봐보고 회의가.. 댓글(2) qupit7 17-01-28 1176
1670 기출문제 질문 qupit7 17-01-28 1456
1669 답변글 기출문제 질문 댓글(1) 임미선쌤 17-02-02 1215
1668 질문드려요 luckk 17-01-27 1462
열람중 답변글 질문드려요 임미선쌤 17-02-02 1429
1666 계속성의 원리 qupit7 17-01-27 1320
1665 단권화 질문 댓글(1) qupit7 17-01-27 1024
1664 자연성에 대한 질문 qupit7 17-01-27 1383
1663 답변글 자연성에 대한 질문 댓글(1) 임미선쌤 17-02-02 887
1662 생활주제와 활동 관련 댓글(2) qupit7 17-01-27 1966
1661 피아제 관련 댓글(1) maxsun 17-01-26 1021
1660 교육부 장학자료요~ 댓글(1) audtjs832 17-01-26 1049
1659 한눈쏙, 기출문제집이요^_^ 댓글(1) jooyeon1229 17-01-25 980
1658 피아제 공부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댓글(1) greenpong1 17-01-23 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