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사효능감 | ||
---|---|---|---|
작성자 | tldbs91 | 작성일 | 2016-08-26 12:57:37 |
조회수 | 1,060회 | 댓글수 | 1 |
1. 교사효능감: 교사 자신이 학생의 성취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믿는정도.
교사효능감은 효능감 기대와 결과기대를 의미한다고 하였는데 위의 정의만 보았을때는 효능감기대와 같은데 같은것으로 보아도 될까요? 아니면 어떤근거로 구분할 수 있을까요..?
2.
효능감 기대: 자신이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행위를 할 수 있다는 / 개인적 확신이다.
결과기대: 요구되는 특성 수준의 과제를 수행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에 대한/ 개인인 기대정도이다.
라고 교사론파트에 에 나왔는데 효능감의 기대와 결과기대 효능감과 차이가 없는것 같아요..둘다 행위를 할 수 있다는 것 아닌가요?ㅜㅜ 혹시 구체적인 예시나 어떠한 점이 다른지 알 수 있을까요?
답변부탁드립니다.!
댓글목록
smile0317님의 댓글
smile0317 작성일이건.. 저의 생각인데요^^ 예를들면....... 내가 교사인데, 우리반 학생들이 수능에서 좋은 점수를 받도록 하기 위해 정말 열심히 가르치는 그 과정에서 교사 스스로 생각하는게 효능감 기대인 같아요! '아, 내가 이만큼이나 가르쳤으니 우리반 아이들이 수능을 잘보겠지?' 또는 '난 교사로서 우리 학생들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어!!'라는 이런거... 근거없는자신감 같은거?ㅋㅋㅋㅋ 그런데 결과기대는 수능을 위해서 그전에 계속 모의고사를 보잖아요?그런데 정말 학생들이 좋은 점수를 계속 받는거에요. 그럼 교사 입장에서'아, 우리반 학생들이 모의고사도 계속 좋은 점수가 나오고 있으니 수능도 정말 잘보겠구나!!' 라고 기대를 하는게 결과기대 이죠. 즉... 증거? 차이인 것 같아요ㅋㅋㅋ 그래서 교사효능감은 효능감 기대와 결과 기대 두가지가 포함되는 것 같아요! 나도 교사로서 너를 잘 가르쳐줄수 있다는 교사 스스로의 믿음(효능감 기대)과 실제로 나에게 배운 학생이 좋은 점수를 가져오는 결과기대 두가지가 함께 나타나야 '아 역시 난 좋은, 훌륭한 교사야'라는 신념이 생기는 거죠ㅋㅋㅋㅋ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