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 피아제 도덕성 | ||
---|---|---|---|
작성자 | young199 | 작성일 | 2022-09-06 17:08:59 |
조회수 | 859회 | 댓글수 | 2 |
피아제의 타율적 도덕성 특징으로
1. 타율적 도덕성(규칙의 절대성)
2. 객관적 책임에 의한 도덕 판단
3. 도덕 실재론
4. 내재적 정의
5. 속죄적 처벌
으로 알고있는데요
1. 타율적 도덕성(규칙의 절대성)과 = '타율적 도덕성' 단계의 명칭이 같아서
시험문제에 ex) 교사가 정해준 규칙에 따라 놀이하는 유아의 특징을 쓰라고 하면
규칙의 절대성을 인식하고 있다 써야할지, 타율적 도덕성이 나타났다고 써야 할지 궁금합니다!1
2. 그리고
타율적 도덕성 <-> 도덕적 융통성
도덕적 실재론 <-> 도덕적 상대론
인가요?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1. 둘이 같은 의미입니다. 타율적 도덕성이 나타남 = 규칙을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따르려고 함
2. 아직 개념 정립이 덜 되신것 같습니다.
1) 타율적 도덕성(규칙은 절대적이며 변화 안함) ↔ 도덕적 상대성(규칙은 임의적인 약속이며, 언제든 변할 수 있음)
2) 도덕적 실재론이란 쉽게 말해서 도덕성이 실재로 존재할 것이라고 믿는 것입니다.
도덕적 융통성이란 상황에 따라 규칙은 지키지 않을 수 있으니 꼭 처벌을 받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오히려 도덕적 융통성 ↔ 내재적 정의(규칙을 안지키면 반드시 벌이 따라온다)가 될 수 있겠네요
2번에서 말씀하신 것들은 모두 반대적인 표현과 연관이 없으니 기본서를 정독해서 각 정의를 다시 이해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호냥님의 댓글
young199
아~이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