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자탐]추론하기 | ||
---|---|---|---|
작성자 | young199 | 작성일 | 2022-09-09 23:13:19 |
조회수 | 733회 | 댓글수 | 3 |
1. 과학적 과정에서 추론하기는
과학 실험을 한 후에 나온 결과에 대해 왜 이렇게 결과가 나왔는지 원인을 살펴보는 것이 추론하기이고
수학적 과정에서 추론하기는
패턴, 사물들 관계를 보고(관찰한것) 제시되지 않은 정보를 유추하는 것으로,
ex) 동그라미-세모-동그라미-? : 다음에 무엇이 올까요?와 같이
관찰된 정보로부터 제시되지 않은 정보를 유추하고
이를 입증하는(근거 찾는)모든 과정이 추론하기로 이해하였는데요!
제가 이해한 것이 맞을까요?
그리고..
2.수학적 과정 추론하기 안에 '추리하기'는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라는데 또 혼란이 옵니다 ㅜㅜ)
3. 마지막으로 2013년 추시때 "활동 결과들이 친구들 간에 왜 서로 다른지 생각" 이것은 수학적과정하기 추론하기인데,
저는 과학적 과정의 '추론하기'나 '의사소통' 같아서요... 이 부분도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ㅜㅜ
댓글목록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작성일
1. 네
2. 무엇에서 혼란이 오신다는 걸까요? 추리하기는 수학적 과정기술 추론하기의 유형 중 하나입니다. 패턴 빈칸을 보고 무엇이 올지 추리해보는 것을 의미해서 제시되지 않은 정보를 유추하는 것과 연결된 것인데 어느부분에서 혼란이 오시는지 알려주시면 아는 선에서 답변해드릴게요
3. 일단 문제에서 그 부분이 추론하기라고 했으면 추론하기구나 라고 인정하셔야해요! 그런데 의사소통도 해당하는 것 같다고 생각하시는 부분에서 설명해드리자면 의사소통하기는 사람들간에 이야기를 나눈다는 말이 들어가야합니다. 그런데 지문을 잘 읽으시면 왜 사람들간의 생각이 서로 다른지 "생각" 해보는 것에 그쳤습니다. 사람들과 소통하고 있는 장면일까용? 단지 왜 자신이 사람들과 생각이 다를까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것이고 이를 통해 자신의 의견에 대해 입증해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추론하기입니다.
친구들 간에 왜 서로 다른지를 생각해본다 라는 말을 이야기 나눈다라고 잘못 오해하신듯합니다!
호냥님의 댓글
young199
2. 수학적 과정과 과학적 과정에서의 '추론하기'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수학적 과정에서는 패턴 빈칸 보고 추리하는 것 같이 제시되지않는 정보를 유추하는 것이고,
과학적과정에서는 결론 내린 것의 원인을 되짚어 보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는 것이지요?
교수님께서 과학적 과정과 수학적과정이 같은 맥락이라 하셨던것 같아서 수학적 과정도 패턴의 빈칸을 추론하고 원인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과학적 과정과 비슷하다 하신건지 궁금했습니다!
민와잉님의 댓글
sdr06040
어떠한 결과에 대한 원인을 되짚어보고 그 타당성을 증명해 내는 부분이 비슷하다고 하신것 같습니다! 설명하신 부분이 저도 같은 의미로 이해햇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