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과정-예술경험 교재에서 질문드려요 | ||
---|---|---|---|
작성자 | g3216549 | 작성일 | 2016-08-11 11:16:38 |
조회수 | 1,456회 | 댓글수 | 1 |
<아이미소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199p 생활주제 관련 활동 3-1>
: 대상 연령 만 3세인 활동이네요 활동 목표가
'다른사람과 협력하여 풍성한 작업물을 만드는 경험을 갖는다' 라고 나와있어요
그런데 세부내용 보시다시피 협동하거나 협력해서 만드는 것은 만 4세부터라고알고있는데,
물론 활동내용을 보면 개별작업후 이어 붙이는 식이지만 목표에 이렇게 기술할 수 있는건가요?
활동내용을 보면 그렇구나 싶다가도 내용 모르고 목표만 봐서는 헷갈릴것같아서요.
과정교재들에서도 만 3세, 4세, 5세에서 구분되는 내용이 생활주제 관련활동에서는 뭐지?싶은게
몇개있었는데, 선생님들은 어떻게 하시나요?
<아이미소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228p 3번문항>
3번문항의 (2)에 위의 상황에서 유아의 사회극놀이를 촉진하기 위해 교사가 개입하고 잇는 역할을 쓰시오.
라고 나와있는데 저는 이 문제의 답을
'놀이지도자: 교사가 "똑똑, 꽃사러 왔어요" 라고 말하며 "여기 꽃을~ 없어요?" 물어보며 놀이를 확장시키며
풍부화시킴 ' 이라고 적었는데
해설에 뒤에 내용는 거의 비슷하게 썼는데 교사가 개입하고 있는 역할이
답지에는 '내적중재 및 공동놀이자'라고 나와있어요.
저는 220p 상단에있는 표에
공동놀이자: 성인이 놀이에 참여하고, 놀이 파트너가 된다.
놀이지도자: 성인이 놀이에 참여하고, 놀이의 풍부화와 확장에 적극적 시도를 한다.
의 내용에 근거해서 적은 답인데
왜 공동놀이자가 답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28p 지문을 보면 교사가 유아들의 놀이 환경(아이디어나 물적자원 제공 등)을 마련해주는데 도와주고있고 직접 놀이에 참여하여 "여기 꽃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작은 책 같은 것 없어요?" 라고 물어보는 등 놀이를 확장시키는 시도를 했다고 생각하는데, 놀이지도자는 답이 될 수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 3번문항의 (3)으로 가면 스밀란스키가 제시한 사회극 놀이의 요소와 위 상황에 해당하는 내용 3가지를
찾아쓰라는 문제입니다.
답지에는 언어적대화, 역할가작, 사회적 상호작용 3가지로 제시되있었고
저는 상황 및 행동가작화, 역할가작화, 지속성이라고 적었는데요. 제가 적은 답은 답이 될 수 없나요?
제가 저렇게 쓴 근거는
행동 및 상황 가작화: 유아들이 "어서오세요"라고 말한 것
역할가작화: "나는 꽃가게 주인을 할거야. 너는? " "나는 꽃파는사람을 할거야" 라고 말한것.
지속성: (유아들이 꽃을 사고파는 놀이를 계속하고 있다) 라고 지문에 나온 것.
등을 토대로 적었는데 답이 되지 않는지,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이미소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258, 268p 펠드만의 표>
258p에 있는 펠드만의 미술 감상 활동 방법과
268p에 있는 펠드만의 단계적 비평을 통한 감상방법
같은 표인가요? 표 이름이 다르게 적혀있어서 내용은 거의같은것같은데 헷갈려서요~
2.분석 3.해석 4.평가는 다 공통적으로 나오는것같은데
기출?인가 아무튼 펠드만의 이 표 관련한 문제풀다보면 1단계같은 경우는 말이
서술로도 나왔다가 묘사로도 나왔다가 기술로도 나왔다가 해서
서술=묘사=기술 통용해서 쓸수있는건지..
<아이미소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282p 생활주제관련활동 2-3>
이 활동에서 목표에도 보면 판소리를 감상한다, 판소리를 감삼하고 즐겁게 표현해본다. 등을 볼 수있는데
누리과정 관련요소에 예술적표현하기만 들어가있더라구요.
이 활동이 표현이 위주가 되는 활동인가요? 만약그렇다면 그게 위주가 돼서 관련요소에 예술경험 대표적인 관련요소로 예술적표현하기가 들어간건지..
<아이미소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303p 19번문항에 (2) >
19번 (2) 다음은 ㄴ에 제시된 전래동요의 특징이다.~ 해서 나오는 지문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의 기호를 쓰고 이를 바르게 고쳐쓰라는 문제인데요.
c같은 경우 자진모리 장단에 어울리는 노래이다(x)-> 단모리(휘모리)장단에 어울리는 노래이다.
라는데 19번 문항의 악보만 보고 어떤 장단이 어울리는 노래인지 어떻게 아나요?
또 a,b 같은 경우는 선생님들은 적절하지않은지 어떻게 판단할수있나요?
음악을 잘몰라서 예술경험 파트가 어렵네요...4음 음계이런건뭔지 2소박 장단은 뭔지...
<아이미소 유아교육과정 예술경험 309p 25번 문항>
25번문항 아래와같이 유아기에 '두족인간'의 그림이 나타나는 이유는?
답이 지각과 기억능력의 부족이라는데
잘 이해가가지않습니다. 해설에 따르면 이런 미분화된 표현이 인지이론,정신분석이론,지각이론 마다
다르게 해석하고있는걸 알수있는데 어디에 기준을 두고 문제를 풀어야하고 , 저게 왜 답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
로웬펠드의 유아미술발달단계에서
전도식기와 도식기의 큰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기저선인가..
그냥 문제에 나오는 그림을 제시하고 어느단계냐고 묻는 문제에서 헷갈려서요. 부탁드립니다~
초수라서 부족한게 많고 음악?악보이런거 되게 어려워해서
예술경험 파트가 유독 이해가 단 번에 잘안되고 어려운게 많네요..
잘 아시는 선생님분들 도와주세요~
댓글목록
auj77님의 댓글
auj77 작성일저도 초기에 의구심이 들었던 부분들인데 선생님 글 보고 옛날 생각이 많이 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