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사회관계영역 기출풀이강의 듣고 질문드립니다! | ||
---|---|---|---|
작성자 | glm9209 | 작성일 | 2016-05-02 21:31:45 |
조회수 | 1,164회 | 댓글수 | 0 |
사회관계영역 강의가 모두 끝났는데 선생님들 다들 이영역 공부 마치셨나요?
저는 아직도 이론들을 다 못 외웠지만, 마지막 기출풀이 강의에서 교재 728페이지의 26번의 (3)번 해설을 듣고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요...
보강날 일이 있어서 저는 인강으로 들었는데요, 이 부분만 다시 천천히 들으면서 임교수님의 강의 설명을 제가 이해한 것을 바탕으로 재구성 해 보았습니다.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는 수준과 단계가 있는데, 그 단계는 사실은 순서라기보단 유형이라고 볼 수가 있다. 각 유형은 전인습, 인습, 후인습 수준에서 각 수준에서 나온 (도덕적 딜레마에 대한) 답변의 두가지 유형을 정리한 것이며, 각 단계까지도 순서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니까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3수준 6단계 보다는 3수준 6유형으로 봐야한다는 말씀이라고 이해 했는데요, 그동안 단계라고 기억을 하고 있었더래서 도서관에서 좀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발달심리학 제2판(Alan Slater, Gavin Bremner편저, 송길연 외 번역, 시그마 프레스)에서는 임 교수님의 말씀과 같이 "딜레마에 대한 숙고에 반영된 판단의 다섯 단계 혹은 유형을 밝혀내었다(연구에서는 분명치 않지만 이론적으로는 관계되는 여섯번째 단계가 역시 제안되었다)"고 적은 반면,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William M. Krtins&Jacob L. Gewirtz편저, 문용린 역, 학지사)에서는 "피아제는 세가지 '국면'(전도덕적, 타율적, 자율적)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고 변화한다고 기술한 반면, 콜버그는 이에 대해서 보다 강ㄹㅇ한 주장을 하고 있다. 즉, 특정 국면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단계라는 용어의 사용을 정당화 하기에 충분하리만큼 일관되게 반응한다고 주장하면서 그는 '국면'을 '단계(stage)'로 대체시켰고 피아제가 제시한 세가지 국면을 다음과 같이 6단계로 제시했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65페이지)
그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은 그럼 '유형'이라는 말과 '단계'라는 말을 혼용해서 써도 되는건가요?
아니면, 둘중 하나의 단어를 선택해야 한다면 어느쪽을 선택하는 것이 맞는걸까요?
그리고 여러 각론서에서 각 발달 단계는 문화 보편적이며 순서를 건너뛰어 발달하지 않는다고 한 것을 읽었는데요, (죄송해요, 이부분은 어떤 책이었는지 메모해오지 못했습니다ㅜㅜ) 이부분을 물론 여러 학자들이 비판했지만요, 교수님께서 각 단계까지도 순서로 보기 어렵다고 하신 말씀은 그럼 콜버그의 관점이 아닌 Colby나 길리건 같은 학자들의 관점을 말씀하신 걸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