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교사 효능감과 교수 효능감 | ||
---|---|---|---|
작성자 | hy8598 | 작성일 | 2016-03-12 12:01:08 |
조회수 | 1,829회 | 댓글수 | 2 |
교사 효능감과 교수 효능감이 다른 것인가요?
교사효능감은 아이미소 책 p.639 쪽에 교사 개인이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하는 효능감 기대와 교사 자신의 교수행위가 학생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결과 기대를 의미한다고 하는데..
각론서 유아교사론 (양서원, 임부연, 김성숙, 송진영 저)에는
교사 효능감이 교사가 스스로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능력이라고 나와있고,
교수효능감이 교사가 가르치는 기술과 교수법에 대하여 스스로 가지는 믿음과 신념이라고 구분되어 나와있더라고요~
아이미소에는 그런데 교사효능감 자체가 교수효능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나와있어서 헷가리네요..
각론서는 구분되어 나와있고요.. 교사효능감과 교수효능감이 다른건가요??
댓글목록
장재은님의 댓글
myid726 작성일
선생님 ~
교사가 '교사 효능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교사로서 자신의 행위에 대한 교수(즉, 교사가 가르치는 기술과 교수법)에
스스로의 믿음과 신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지요~
어떤 맥락으로 보면 교사효능감이, 교사로서 가질 수 있는 교수 효능감을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이해해보았어요~
김현아님의 댓글
kimha19 작성일
선생님^^
자아효능감은 반두라가 제시한 개념으로써
자아효능감안에 1)효능기대 2)결과기대가 있어요.
자아효능감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갖는 신념이라고 할 때,
이것을 교사로 바꾸면 교사효능감이 되겠지요.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학생에 성취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능력을 갖고있다고 믿는 정도입니다.
교사효능감 안에도 1)효능기대 2)결과기대가 있답니다.
'교수효능감'은 깁슨&뎀보에 의해 제시된 개념인데,
반두라의 자아효능감에 기초해서 만들어졌어요.
학습자 수행에 미칠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정도이고
그 요소는 아래와같이 나누어 집니다.
1) 개인적 교수효능감 (반두라 효능기대에 기초)
2) 일반적 교수효능감 (반두라 결과기대에 기초)
저는 교사효능감과 교수효능감 모두
교사가 학습자의 수행에 미칠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믿는 정도. 신념으로
의미가 같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제시한 학자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저도 더 공부해보고 알게된다면 댓글남길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