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에릭슨 시사점에 대한 의문입니다 ㅠ | ||
---|---|---|---|
작성자 | dgdg221 | 작성일 | 2016-03-01 12:25:52 |
조회수 | 1,208회 | 댓글수 | 3 |
2월말에 아이들 졸업시키고 공부시작한지 얼마 안된 30대입니다 ㅎ
인강들으면서 공부중인데 책을 봐도 궁금증이 풀리지 않아서요ㅠ
에릭슨 시사점에 행동의 사회적 기준에 대한 명확한 한계를 제시한다 라고 적혀 있는데...
행동의 사회적 기준은 무엇이며 한계라는게 어떤 내용을 말하는 건지 알수가 없습니다ㅠ
혹시 아시는 선배선생님들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ㅎ
인강들으면서 공부중인데 책을 봐도 궁금증이 풀리지 않아서요ㅠ
에릭슨 시사점에 행동의 사회적 기준에 대한 명확한 한계를 제시한다 라고 적혀 있는데...
행동의 사회적 기준은 무엇이며 한계라는게 어떤 내용을 말하는 건지 알수가 없습니다ㅠ
혹시 아시는 선배선생님들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ㅎ
댓글목록
장재은님의 댓글
myid726 작성일
선생님~ 제가 이해한 내용을 말씀드릴께요^^
심리 사회적 발달 단계 8단계 중,
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 단계를 예시로 말씀드리자면,
이 단계는 주로 아동의 배변 활동과 관련되어서 핵심적인 갈등이 나타납니다.
이 때, 아동은 대소변 통제와 더불어 걷기 시작하면서 "아니야","내가~" 라는 주장이 나타나지요.
이러한 자기 주장이 적절히 받아들여지면 자신에 대한 효능감이 생기면서 자율성이 형성됩니다.
그러나 유아가 행동하는 과정에서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고 실수를 한다던지,
아이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기준(즉, 행동에 대한 부모의 기대)에 미치는 행동을
수행하지 못했을 때, 자신의 모습에 수치심과 자신의 능력에 대해 회의감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유아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기준에 대한 명확한 한계점과 기준점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명확한 한계점과 기준점에 따라 유아가 적합한 행동을 하게 되면 이 단계에 자율성이 형성되고,
그 한계점과 기준점에 미치지 못했을 때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회의감과 수치심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요!
드리맘님의 댓글
ejkeem
오랜된 글이지만.. 그래도 저랑 똑같은 고민을 하고 질문하셨는데, 적절한 답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 받고 갑니다~~
임란이님의 댓글
dgdg221 작성일정말감사합니다 ㅠㅠ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ㅎㅎ 선생님도 공부 화이팅입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