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인강생 질문입니다 답변 꼭 부탁드려요! | ||
---|---|---|---|
작성자 | g3216549 | 작성일 | 2016-02-05 00:27:23 |
조회수 | 1,139회 | 댓글수 | 1 |
안녕하세요. 인강 수강하는 한 학생입니다
해오름반 기출문제 풀이 발달부분에서 궁금한 점 있어 올립니다.
2015학년도 교육과정 A 4번 문제인데요
4번문제의 작은 번호 3) '다' 에서 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현우의 유아기 사고의 특성을 서술하시오.
이 문제에 대한 풀이를 임미선 강사님께서 비보존성, 수량보존개념의 결여 등으로 설명해주셨는데요.
왜 비보존성에 대한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보기엔 현우가 지각적으로 우세한 측면. 즉 길이를 지각적으로 우세하게 두었기 때문에
과자의 수를 무시하고 과자의 길이에 초점을 둔걸로 보아 문제의 답이 중심화 또는 지각의 중심화라고 생각합니다,
예로 들어 어느 줄의 네모가 더많은가? 유아들에게 물었을 때 네모를 더 간격을 넓게 둔것이 지각적으로 우세해서 길다고 말하는 유아기의 중심화 특성과 4번문제가 상응하지 않나 싶습니다.
비보존성도 양,수,길이,면적 등이 다른속성의 변화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남아있다는 개념이지만 결국은 맥락을 살펴볼때 문제가 주는건 중심화로 인한 비논리적 추론 아닌가요?
지각의 중심화라고 답을 쓴다면 오답이 되는 건가요?
댓글목록
김현아님의 댓글
kimha19 작성일
쌤^^ 문제에서 요구하고 있는 것을 잘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문제 자체가 '비가역성' 때문에 나타나는 사고의 특성을 쓰라고 했기 때문에 '비보존성', '보존개념의 미발달' 이라고 봐야합니다.
보존성에는 가역성, 동일성, 보상성(상보성) 3가지 특성이 있습니다.
만약에 '비가역성'때문에 나타나는 사고라는 말이 없고, 그냥 유아기 사고의 특성을 쓰라고 했을 때는,
쌤의 말씀처럼 직관적 사고나, 지각의 중심화라고 쓰셔도 될 것 같아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