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답변 : 질문있어요 - 측정 | ||
---|---|---|---|
작성자 | bliss514 | 작성일 | 2015-11-18 17:12:13 |
조회수 | 1,542회 | 댓글수 | 0 |
열매반 13주차 수업자료 중 장학생 선발을 위한 모의고사 B유형문제지 14번에서
측정 능력의 발달 순서가 놀이와 모방 -> 비교 -> 임의적 단위 사용-> 표준 단위의 필요성 인식 -> 표준적 단위사용이라고 나와있는데 저는 놀이와 모방 -> 비교가 아닌 직접 비교 -> 비표준화 단위로 측정 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제가 쓴 것은 답이 될수 없나요??? ㅠㅠ
놀이와 모방을 통해 측정해보다가 비교 하는 것으로 나아간다는 것도 어느정도 이해되긴한데
아이미소 책에 (구체물의 직접비교 - 비표준화 단위로 측정(임쌤께서 이부분을 신체단위로 측정과 같은 것이라 설명하셨어요.)- 표준화 구체물 단위로 측정(임쌤께서 이부분은 임의단위로 측정하는 것과 같다고 설명해주셨어요.) - 표준화 측정도구로 측정)라고 나와있어서 더 헷갈리네요..
-----------------------------------------------------------------------------------------------------
장학생선발모의고사에 출제된 측정 발달 단계는 Charlesworth의 측정 개념 발달 단계에 근거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Charlesworth는 놀이와 모방, 비교, 임의적 단위 사용, 표준 단위의 필요성 인식, 표준적 단위 사용으로 단계를 제시했으며, 따라서 문제에서도 뒤에 제시된 단계이름을 근거로 추측한다면 놀이와 모방, 비교가 더 정확한 답변이 될 것 같아요.
(해당 문제에서는 학자이름이 제시되지 않았으므로 앞의 두 단계를 직접비교, 순서 짓기로 쓴 경우에는 맞다고 채첨해주셨다고 들었어요. 선생님이 제시한 답 중 직접 비교는 맞지만 그 다음을 순서짓기로 쓰셔야 답이 됩니다! 선생님이 아래에 헷갈리다고 하신 부분인 ^^비표준화단위는 임의적 단위 사용에 해당하므로 답으로 채점되긴 어려울 것 같아요.)
교재에 나와 있는 단계와 Charlesworth의 단계는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르답니당!! 시험보기전에 꼭 확인하시고 가세요~~(강의 때 추가자료로 주신부분이에요~~^^).
1. 놀이와 모방
출생 후 시작하여 감각운동기를 지나 전조작기까지 계속되는 단계, 유아는 자기보다 나이 많은 아동이나 성인을 모방함.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을 보고 숟가락이나 자 또는 저울을 갖고 측정하는 시늉을 하면서 논다. 모래나 물을 한쪽 그릇에서 다른쪽 그릇으로 옮겨 부으면서 부피의 속성을 탐색. 자기보다 키 큰 유아들이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하면서 길이에 대한 첫 개념을 갖게 된다. 그리고 팔이 짧아서 자기가 원하는 물건을 잡을 수 없을 발견하게 된다.
2. 비교
주로 전조작기에 해당하며,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 긴 것과 짧은 것, 큰 것과 작은 것, 뜨거운 것과 차가운 것 등 비교하기를 좋아한다. 아직 보존개념이 형성되지 않아서 지각의존적인 측정을 한다. 예로 길이가 같은 두 개의 막대기를 비교할 때 막대기 양쪽 끝의 관계를 생각하지 못하고, 한 쪽 끝만 보고 판단한다.
3. 임의적 단위 사용
전조작기 말과 구체적 조작기 초, 이 단계에서 유아는 임의적 단위를 사용하는 것을 배운다. 예로 자기 발이 이쑤시개로 몇 개의 길이인가 또는 양동이에 물이 몇 컵 들어갈까를 알아내려고 하는 경우 이쑤시개의 길이나 컵의 부피를 임의적 단위라고 할 수 있다. 임의적 단위를 사용하는 단계를 통해 유아는 표준적 단위의 필요성을 학습하게 된다.
4. 표준단위의 필요성 인식
구체적 조작기가 되면 표준단위를 사용할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한다.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며, 다른 사람들이 쓰는 것과 같은 단위를 사용해야 함을 발견하게 된다. 예로 유아가 "엄지손가락 9개 넓이의 종이를 주세요."라고 말하는 경우 다른 사람들은 그 유아의 손으로 측정하지 않는 한, 같은 폭의 종이를 찾을 수 없다. 만약 유아가 "20cm 폭의 종이를 주세요."라고 말했다면 다른 사람들도 정확히 종이의 폭을 알 수 있다. 이 예에서 엄지손가락은 임의적 단위이고, cm는 표준적 단위이다.
5. 표준적 단위 사용
마지막 단계는 구체적 조작기에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 유아는 cm, m, l, g 등의 표준적 측정 단위를 사용하고 이해하기 시작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