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답변 : 살로베이,메이어,카루소의 정서지능과 공감에 대해 궁금합니다! | ||
---|---|---|---|
작성자 | 임미선쌤 | 작성일 | 2015-11-20 02:29:11 |
조회수 | 3,488회 | 댓글수 | 0 |
교수님께 배운바로는 정서지능은
1 정서지각(인식) : 나,타인의 정서 이해 / 정서표현 / 정서구분
2 정서활용(통합) : 문제해결에 정서활용 / 관점에따른 차이 수용 및 고려(->공감)
3 정서이해 : 정서 명명 / 복합적 정서 이해 / 정서의 전환 인식
4 정서관리 : 정서조절 및 관리
순서 및 특징이고 이를 공감과 연결해 보았을 때 가장 유사한것은
2번째인 정서통합(활용)의 수준3에서의 정서의 가변성을 이해하는능력에서 정서의 다양한관점 이해 라고 알고있는데
공부하시는분들마다 의견이 엇갈려서요.
정서인식(15년도 세희의 후라이팬, 기분이 어떻겠니는 공감에 대한 질문이며 따라서 공감은 정서인식으로 볼 수 있다라는 의견)이나
정서이해가 공감에 대한 내용이라고 하는분들이 많아서
시험 전에 꼭 제대로 정리해서 시험장에 갔음 합니다ㅠㅠ
누리과정 세부내용의 공감 부분을 살로베이,메이어,카루소와 연결지어 나올수있지않을까 생각이 들어서 걱정이됩니다ㅠㅠ
S.M.C의 정서지능에서 공감은 어디에 해당되나요? 답변 꼭 해주시길 기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질문의 내용을 보면 우선은 공감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는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우선, 공감을 단순하게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는 정도의 능력으로 본다면 살로비의 능력 모델에서는
정서의 지각에 해당할 것이고
다음으로 공감이란, 단순히 타인에게 발생한 정서를 지각하는 것을 넘어.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고 그에 알맞는 반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본다면
살로비의 능력 모델 중-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중 수준2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만약 이 문제가 시험에 나온다면 제시된 지문이 어떤 사례에 해당하는 가를 판단하여 쓰는 것이 정확한 답이 될 것 입니다.
저의 개인적인 판단을 물어보는 것이라면 '공감이란' 단순한 타인의 정서 지각을 넘어 타인의 정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관련된 반응 생성에 해당하므로 정서에 의한 사고 촉진 항목에 해당한다고 봅니다.
시험이 얼마 남지 않아 많이 힘들죠? 컨디션 조절 잘하셔서 최선의 에너지로 시험 잘 치르시기를 기원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