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아교육론/ 정서지능 질문합니다! | ||
---|---|---|---|
작성자 | dolee91 | 작성일 | 2015-07-10 11:06:05 |
조회수 | 1,578회 | 댓글수 | 4 |
자료를 다찾아봐도 이해가 가지 않아서 질문합니다!^^
개론 619 쪽 유아교육 역사적 사실 순서 문제인대요!
아이미소기출문제집을 살펴보았더니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과 유아교육진흥법에 지역특성, 유치원실정, 교육적필요 등에 따라 종일반을 운영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는 ㅡ 1998년이라고 해설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제5차교육과정(1992) 제정이 되면서 유치원교육과정 지역화강조ㅡ시.도교육청이 국가수준 기초로 편성.운영지침을 실정에 맞게 제시하면서 종일제 운영에 관한 지침을 명문화한것에 근거하여 볼때
종일반 운영의 법적근거는 .. 92년도가 아닌가요~? ㅠㅠ
헷갈려서 질문합니다!
두번째 질문은 아래에서 제가 15년도 기출 살로베이와 메이어 정서지능 답에 대해 문의를 했을 때
조교선생님께서 학자마다 다른 용어차이라 골먼에서는 감정이입이지만 살로베이에서는 정서인식이다 라고 해주셨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헷갈리는 부분은요!
살로베이가 분류한 정서지능과 골먼이 다시 이를 바탕으로 분류한 정서지능이 궁금한대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골먼이 분류한 정서지능은
정서인식
정서조절
자기동기화
감정이입
대인관계기술 이렇게 5가지로 알고 있으며
살로베이가 처음 분류한 정서지능은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활용
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교수님이 주신 자료에서 보면 여기서 정서인식과 표현 속에 '감정이입'이 속해있는대요.
골먼이 제시한 정서인식과 감정이입은 다른 범주로서 분류를 하였고
살로베이는 정서인식 안에 감정이입이 또 하위요소로 들어가있는데..
살로베이가 제시한 '정서인식'과 골먼의 '정서인식' 은 다른 의미인가요? ㅠㅠ
골먼은 왜 정서인식과 감정이입을 다른범주로 나누고 살로베이는 같은 범주 안에서 볼 것일까요~?
답변부탁드려요*^^*
댓글목록
조교님의 댓글
아이미소연구소3 작성일
안녕하세요. 아이미소 교육관리자 입니다.
1. 종일반 법적근거는 1998년 전면 개정된 유아교육진흥법에 있습니다.
1992년 5차 교육과정에서 이미 종일반이 시행되고 있었지만, 법적 근거가 없이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1998년 유아교육진흥법을 전면 개정하면서 종일반에 대한 법적 근거가 생기가 되었습니다.
조교님의 댓글
아이미소연구소3 작성일
2. 정서지능 ( 네이버 사전에, 정서지능을 검색하시면 심리학용어 사전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메이어와 살로베이는 처음 3영역 10요소 모형으로 제시하였지만, 정서 지능의 정의에 대한 비판과 모호성의 문제를 인식하고 초기의 정의에 감정의 사고를 고려하여 좀 더 타당하고 정교한 ‘4영역 4수준 16요소 모형’을 제안했습니다.
조교님의 댓글
아이미소연구소3 작성일이후 골먼은 메이어와 살로베이(1990)의 정서 지능을 더 실용적으로 유목화하여 정서 지능의 기본 정의에 가드너(Gardner, 1993)의 개인 내 지능을 포함해 정서 지능을 좌절 상황에서도 개인을 동기화하고, 자신을 지키게 하며, 충동 통제와 만족 지연을 가능하게 하고, 타인에게 공감하고, 희망을 버리지 않는 능력이라고 정의 했습니다.
조교님의 댓글
아이미소연구소3 작성일
살로베이의 정서의 인식과 표현은 (자신의 정서를 파악하기, 자신의 외부 정서를 파악하기,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하기) 요소들이 있고,
골먼의 자기 인식은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재빨리 인식하고 알아차리는 능력로 정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