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질문합니다. ^^ | ||
---|---|---|---|
작성자 | jiyoung3405 | 작성일 | 2015-07-11 01:57:56 |
조회수 | 1,506회 | 댓글수 | 2 |
'유아교육의 사상적 기초' 확인학습 1 - 14번문제
ㄹ-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생활을 상하지 않게하고, 그 좋은 점을 소중하게 육성하며, 어떠한 나쁜 습관이라고 하더라도 조용하게 교정하여 제거하고 자녀의 좋은 습고나을 키워주는 가정교사를 채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 루소가 어린아이를 유모나 가정교사에게 맡기는 당시의 풍조를 비판했다는 것을 알겠는데, 위의 내용은 누구의 사상인가요?
'유아교육의 사상적 기초' 확인학습 2 - 28번문제
Q. 듀이가 강조한 교육적 개념에 대한 설명이다. 제시된 설명에 해당하는 개념은?
인간은 자신의 신체적 욕구와 생명의 보존을 위해 대상이나 환경에 적응해 가려는 본질적 경향이 있으며 이 때 그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을 숙고하는 지성을 가지고 있다. 이 지성은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태여날 때 부터 본능적으로 타고나는 것이다.
A. 반성적사고
→ 듀이는 문제해결과정을 통해서 반성적사고를 함양하고,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반성적 사고력을 기른다고 했는데 반성적사고는 본능적으로 타고나는 것인가요?
아이미소 유아교육개론 유치원교육과정의 이론적기초 p.126
6. 게젤: '유아에게 무엇을 가르치기위해서는 유아가 성숙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 개념
책에 정답은 준비도라고 되어있는데, 학습준비도라고 하면 오답처리가 될까요?
댓글목록
김현아님의 댓글
kimha19 작성일
1. 로크입니다. 아이미소 1권 p.26
2. 본능적으로 타고나는 것 입니다 ^^ 참고하세용.
인간은 자신의 신체적욕구와 생명의 보존을 위해 대상이나 환경에 적응해 가려는 본질적 경향이 있으며, 이때 그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을 숙고하는 지성을 가지고 있다. 이 반성적 사고는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날 때 부터 본능적으로 타고나는 것입니다.
3. 어떤 책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아이미소 1권에는 학습의 준비도라고 나와있어용!
준비도와 학습준비도는 같은 말이라기보다는 준비도 자체가 어떤 능력을 수행하기 위한 생리적 준비가 되었다는 뜻이에요. 거기 앞에 학습이 붙으면 학습에 대한 생리적 준비, 읽기 준비도라고 하면 읽기에 대한 생리적 준비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아요. 준비도란 말은 매우 포괄적이라고 보시면 되용.
송지영님의 댓글
jiyoung3405 작성일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