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질문합니다 ^^ | ||
---|---|---|---|
작성자 | jiyoung3405 | 작성일 | 2015-07-23 23:37:57 |
조회수 | 1,512회 | 댓글수 | 2 |
1.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 에릭슨)은 성숙주의 입장인가요?
대부분의 각론서에는 성숙이론과 정신분석이론을 구분해서 범주를 나누었는데, 교수님께서는 책에 성숙이론 안에 정신분석이론을 왜 포함시켰는지 궁금합니다.
2. 피아제에따르면 전조작기시기의 유아는 직관적사고를 하게 되는데 내적직관(통찰적사고)이 아닌 외적직관을 합니다. 코메니우스와 페스탈로치도 직관을 강조했는데, 외적직관을 강조했는지 내적직관을 강조했는지 궁금합니다.
코메니우스(아이미소 22쪽): 감각적 실학주의 - 감각적 직관 강조 → 외적직관?
페스탈로치(아이미소 33쪽): 직관의 원리 - 외계의 인상을 능동적으로 개념을 구성하는 작용으로서의 직관. 사물을 직관함으로써 감각적인 인상에서 추상적 사고력의 계발에까지 도야해 간다고 보았음. → 외적직관, 내적직관 둘다?
3. 피아제의 전조작기 유아의 특성 중 중심화와 직관적사고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같은 의미인가요?(아미미소144쪽)
(지각의)중심화: 두개이상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고 한가지 측면만 고려. 지각적으로 우세한 측면에 집중. 직관적 사고: 크기, 모양, 색깔 같은 사물의 현저한 지각적 속성에 의해 그 대상을 판단하는 중심화된 양상.
(아이미소 155쪽 6-1번) 자신이 지각하는 한 가지 요소에만 주의를 집중하고 그 외 다른 요소들은 고려하지 못하는 것? 책에 정답은 지각의 중심화라고 되어있는데, 직관적 사고기는 아닌가요?
중심화와 직관적 사고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댓글목록
김현아님의 댓글
kimha19 작성일
성숙주의는 인간의 발달이 질적으로 다르게 이루어진다고 보았어요.
즉 인간의 생애 각 발달 단계마다 독특한 특성이 나타난다고 했어요.
즉, 프로이드의 기본적인 관점이 성숙주의를 바탕으로 리비도의 집중 시기에 따라 단계를 설명했기 때문입니다.
김현아님의 댓글
kimha19 작성일
2. 선생님이 생각하신게 맞아요.
3. 전조작기 유아의 자기중심성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중심화는 여러 개의 측면을 통합하지 못하는 사고이고,
직관적 사고는 그냥 처음에 봤을 때 눈에 띄는 한 가지만을 고려하는 사고입니다.
제시된 문제에 그 외 다른 요소들은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나와있기 때문에 중심화에요~^^